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술진보의 양면성과 미래 교육: 자유로운 사회에서 삶의 기량 (Two Opposing Perspectives on Technological Progress and Future Education: Arts of Living in a Free Socie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9.12
36P 미리보기
기술진보의 양면성과 미래 교육: 자유로운 사회에서 삶의 기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2권 / 4호 / 103 ~ 138페이지
    · 저자명 : 김두환

    초록

    본 연구는 이른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진보의 특성을 교육과 관련하여 두 가지 상반된 관점에서 인식한다. 하나는 숙련편향 기술진보(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의 관점이다. 이 시각은 교육을 기술진보와 끊임없는 경주를 벌여야 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입장은 인공지능과 로봇공학 그리고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통신기술을 결합한 자동화 기술의 전면화를 통해 인류가 도달한 현재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눈감는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이 새로운 기술진보가 인간의 사회적 삶에 열어주는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한다. 그 가능성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진화 중에서도 소득을 올리기 위해 사람이 수행해온 경제적 활동, 즉 재화의 생산과 용역의 제공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인공지능과 로봇공학, 그리고 더욱더 빨라지는 인터넷의 전송속도가 가속화하는 자동화기술을중심으로 그것들이 인간의 사회적 삶에 미치는 새로운 가능성, 구체적으로 문화사회로의 이행의 가능성에 주목한다. 다시 말해 이는 최신의 과학기술이 달성한 인공지능 로봇자동화라는 경제적 생산기술이 우리로하여금 교육을 기술추격의 관점에서 벗어나 인간의 진화적 본성으로서상호의존과 자기창조를 추구할 수 있는 자유의 시대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관점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술추격의 관점을 완고하게 주장하고있는 경제학자들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본고는 이 새로운가능성의 역사적 연원을 검토하면서 최신의 기술진보가 인간의 사회적삶에 부과하는 양면적 가능성을 세계적 차원과 한국사회라는 국지적 차원에서 탐색한다. 모든 인간이 개성과 독창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자유의시대에 대한 기술적 담론의 연원은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가장 최신의 주장들까지 검토한다. 그러한 검토의 내용은 인공지능, 로봇공학, 초고속 무선 인터넷 등 최신의 과학기술 덕분에 진행 중인 경제적 생산의 완전 자동화의 전면화 과정에서 절정을 이룬다. 또한 그 검토는 세계적 차원과 한국사회라는 국지적 차원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포괄하면서 그것이 인간의 사회적 삶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다. 이후 본고는 최신의 과학기술진화의 핵심에 있는 정보기술의 성격이 기존하는사회적 삶을 교란하면서도 어떻게 인간의 진화적 본성인 상호협력과 창의성에 어울리는 삶을 열어줄 가능성을 담고 있는지 논구한다. 이러한논구에 기초해 도둑처럼 우리에게 들여 닥칠지 모르는 여가와 자유시간의 확대에 대비해 우리의 미래교육이 지향해야할 방향과 가치를 제안한다. 그 제안의 핵심은 자유로운 사회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 필요한 삶의 기술을 육성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교육은 최신의 과학기술이 성취한자동화 생산기술은 역설적이게도 인간이 본성에 적합하게 자기생산과상호의존의 기쁨을 되찾게 할 가능성에 바탕을 둔 기획이다. 현재의 우리 교육체계가 그러한 가능성을 실현할 수 없는 것이라면 우리는 모두그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교육체계로 바꾸는 일에 매진해야 할 것을제안하며 본 연구를 마무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inds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rom two opposing perspectives.
    One is the view of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This view sees education as a constant race against technological progress. The other is the new possibilities that this new technological advance opens to human social life. The possibility is that the economic production technology of artificial-intelligence-robot-automation, which has been achieved by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allows us to move away in education from technology chasing and pursue the interdependence and self-creation as human evolutionary nature. It is the point of view that can led us to the era of freedom. Thus, this study questions the arguments of economists who hold firmly to the point of view of technology chasing as the goal of education. Then, from Aristotle to the most recent arguments, the technical discourse on the age of freedom for all human beings to pursue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is examined. Such reviews culminate in the ongoing evolution of fully automated economic production, thanks to the latest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and high-speed wireless Internet. The review also covers the changes that take place at the global level and at the local level of Korean society, including their impact on human social life. This paper then discusses how the nature of information technology at the core of the latest 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le disturbing existing social life, has the potential to open up a life that is compatible with collaboration and creativity as human nature obtained by long evolution. Based on these arguments, we propose a direction and value for our future education preparing for the expansion of leisure and free time that might come to us like a thief. The core of the proposal is education to cultivate arts of living needed for human beings lives in a free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