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임실현『운수지(雲水誌)』4종 편찬과 특징 비교 (Comparison of the Compi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ur Types of Unsu-ji in the Joseon Dynasty's Imsil-Hyeon eoupji)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07
41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임실현『운수지(雲水誌)』4종 편찬과 특징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71호 / 165 ~ 205페이지
    · 저자명 : 김철배

    초록

    지(邑誌)는 조선시대 군현(郡縣)을 단위로 작성된 지리지(地理誌)로서 지역의 인문환경과 자연지리 등에 대한 여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조선 전기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이 간행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조선 팔도를 범주화하여 각 군현의 읍지를 합철한 것이 『호남읍지』, 『영남읍지』, 『관북읍지』, 『관동도지』, 『관서읍지』, 『호서읍지』, 『황해도전지』, 『경기읍지』 등이다. 이러한 전국 지리지나 도별 지리지 등의 관찬읍지가 전국을 통합적이고 일목요연한 체계를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한 지역으로 본다면 흠결이 없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편찬한 것이 사찬읍지류이다.
    사찬읍지는 16세기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편찬되었다. 특히 16~17세기에 편찬된 읍지는 시기적으로 양란(兩亂) 이후의 지역사회를 담고 있다. 군현의 수령과 지역민이 함께 편찬하였기 때문에 해당 군현의 역사와 문화, 사회, 경제 등등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수록하고 있어서 당대 현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16~17세기 사찬읍지는 전국적으로 대략 50여 권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현전하고 있는 전라도 읍지로 알려져 있는 것은 순천부읍지 『승평지(昇平志)』(1628), 제주도 읍지 『탐라지(耽羅志)』(1653), 남원부 읍지 『용성지(龍城誌)』(1699) 뿐이었다.
    그런데, 2023년 7월에 1675년(숙종1)에 편찬된 임실현 사찬읍지 『운수지(雲水志)』 을묘본이 발견되었고, 2017년 12월에는 1730년에 편찬된 『운수지(雲水誌)』 경술본이 발견되었으며, 2023년 10월에는 『운수지』 을묘본과 경술본을 각각 필사하여 2권 1책으로 엮은 『운수지』 이본(異本)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1904년에 간행된 『운수지』가 그간 널리 유포되어 임실의 사정을 전하고 있었다. 따라서 임실군은 17세기부터 20세기, 즉 1910년 이전까지 4종의 사찬읍지가 전하고 있는 특별한 곳이 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조선시대 각 시기별 편찬 또는 간행된 『운수지』 4종을 소개하고자 하였고, 각각의 서지사항 및 편찬의 목적, 항목의 분화 등을 비교 검토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영어초록

    Eupji is a geography books written based on Gunh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systematically organizes various information on the humanities environment and natural geography of the reg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ejong Sillok-Jiriji and Sinjeungdongguk Yeoji-Seungram were published, 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Yeojidoseo and Daedongjiji are representative. In addition, Honam-eupji, Yeongnam-eupji, Gwanbuk-eupji, Gwanbuk-eupji, Gwanseo-eupji, Hoseo-eupji, Hwanghaedo-eupji, and Gyeonggido-eupji were compiled by categorizing the eight islands of the Joseon Dynasty. Even if such Gwanchan-eupji, such as Jiriji or provincial Jiriji, has an integrated and clear system of the whole country, it is the Sachan-eupji, which was compiled to improve it because it cannot be without flaws.
    Sachan-eupji began to appear in the 16th century and was continuously compiled. In particular, Eupji, compil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contains local communities after the Imjin War and Byeongja-Horan. Since it was compiled by the head of the county and the local people, it contains rich data on the history, culture, society, and economy of the county, which is ver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ime.
    There are about 50 volumes of Sachan-eupji compil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ncluding Suncheonbu-eupji Seungpyeongji(1628), Jejudo-eupji Tamraji(1653), and Namwonbu-eupji, Yongseongji(1699).
    However, in July 2023, the Unsuji compiled in 1675, and in December 2017, the Unsuji, compiled in 1730, was discovered. And in October 2023, a copy of the Unsuji, was discovered which was compiled into two volumes and one book. And the Unsuji, published in 1904, has been widely circulated and informs the situation of Imsil. Therefore, Imsil-gun became a special place where four kinds of Sachan-eupji spread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that is, before 1910.
    Therefore, this paper was intended to introduce four types of Unsuji compiled or published in each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reveal their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and reviewing each bibliography, the purpose of compil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of i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