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운 흄 논쟁: 인과관계의 필연성 문제를 중심으로 (The New Hume Debate: Hume on Caus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0.02
39P 미리보기
새로운 흄 논쟁: 인과관계의 필연성 문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88호 / 163 ~ 201페이지
    · 저자명 : 양선이

    초록

    지난 20년간 흄 학자들 간에 가장 활발하게 논쟁이 되어 왔던 주제는흄이 ‘인과적 힘’에 관해 실재론자였는가 하는 것으로, 이는 소위 ‘새로운 흄’ 논쟁이라 일컬어진다.
    나는 이 논문에서 올드 흄과 뉴흄 논쟁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인과관계의 필연성 문제’와 관련하여 흄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모순을 제시하고 이와같은 모순을 올드 흄과 뉴 흄이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보이겠다. 흄의 모순은 다음과 같다. 즉 1)우리의 모든 관념은 인상에서 비롯된다. 2) 관념 또는인상은 구분된 존재들이다. 3)우리는 원인 인상(관념)과 결과 인상(관념)에 대한필연적 연결 관념을 가진다. 흄의 모순은 경험주의 두 원칙 1), 2)와 경험주의를넘어서는 3)사이의 양립불가능성 때문에 발생한다. 올드 흄주의자와 뉴 흄주의자들의 근본적 차이는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흄이 내린 인과에 관한 두가지 정의의 상호 관련성을 달리 해석함으로써 생긴다. 뉴 흄주의자들은 흄의인과에 관한 두 정의가 불완전하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그것이 완전한 정의를제공할 수 없는 이유는 인과의 본성에 대한 우리의 무지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들에 따르면 인식적 무지가 존재적 부재를 뒷받침할 수 없다. 이러한해석은 곧 흄의 이 두 정의가 결함이 있는 것으로 보고, 두 정의는 양립불가하다는 것이며, 두 정의들은 각각 다른 정의들로 ‘분리’되어 원인이라는 하나의 개념에 대한 온당한 두 개의 정의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고 보는 것이다. 한편 올드 흄주의자들은 두 정의가 함께 갈 수 있다고 봄으로써 흄의 모순을 해결하고자 한다.
    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나는 이 글에서 올드 흄주의자인 블랙번의 ‘유사실재론’을 옹호하게 될 것이다. 블랙번 해석이 설득력 있는 이유는 흄의 인과에 관한 두 가지 정의가 연결되고 상호보완적이며 관점의 차이인 것으로 해석함으로써 흄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우리가 원인과 결과라는 개164 ║ 철학연구 제88집별 사건들 간의 규칙적 계기를 발견하면(첫번째 정의) 하나의 원인인상에 대한관념을 가지게 될 때 습관적인 전이를 통해 일어나는 반성인상인 필연적 연결인상으로부터 결과 관념이 모사된다고 봄으로써(두 번째 정의), 흄의 경험주의제 1원리와 필연적 연결관념의 양립 가능성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결국 블랙번의 해석에 따르면 인과에 관한 두 번째 정의는 힘이나 필연성이라는 결정적인인상이 생기는 그리고 그러한 인상(또한 그에 상응하는 관념)이 확인되는 상황을 기술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필연적 연결)인상(반성인상이긴 하지만)에서(결과)관념이 모사된다는 흄의 제1원리를 충족시키면서 필연적 연결의 인상의출처를 밝힐 수 있게 된다.
    끝으로 나는 블랙번이 간과한, 그러나 흄이 자신의 철학에서 강조한 ‘두 체계이론’을 통해, 흄의 의미론에 기반을 둔 올드 흄과 인식론에 기반을 둔 뉴 흄의해석 둘 다가 흄 철학 체계 안에서 양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most prominent controversy in Hume scholarship over the last two decades has been the so-called “New Hume”debate, concerning whether or not Hume is a realist about causal powers.
    In this paper, I shall focus on a contradiction, to which Hume seem to be committed in order to present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New Hume debate concerning causal necessity. Hume’s contradiction in the Treatise is as follows: 1)We have no ideas except those that are preceded by suitably related impressions. 2) There are no impressions that are suitably related to the idea of a thick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distinct events. 3) We have an idea of a thick necessary connexion between distinct events. Hume’s contradiction arises from the incompatibility between empiricist’s principle 1) 2)and a thick necessary connection 3). Hence, the central problem is interpreting Hume is coping with the contradiction.
    The difference between Old and New Humean lies in presenting the way in which the conflict is to resolve. In interpreting whether Hume’s two definitions of Cause are co-extensive or not, they present the different solutions. Empathizing the inadequacy of the definitions, the New Humean argues that the defectiveness of the definitions derives from the fact that we are ignorant of the nature of causation.
    On the contrary, for the old Humean, the two definitions capture complementary parts of an overall account, and work together rather than in competition. Moreover the apparent reason why two definitions are needed tells strongly the Old Humean direction. I defend quasi-realist view on causal necessity, or power, which is a form of the Old Humean anti-realism against New Humean realism.
    According to the quasi-realism, the second definition is to specify a paradigm situation within which the crucial “impression” of power or necessity arises, enabling that impression -and the corresponding idea-to be identified. It thus satisfies the demands of the copy principle, and shows how the distinctive conceptual content that characterizes causal judgments (i.e. the element of connexion or consequentiality) is derived. This is exactly what is required by Hume’s theory of meaning, and provides the explicit purpose of the quest that leads to the two definitions.
    I finally show that the debate between Old Humean anti-realism and New Humean realism concerning Hume’s causal necessity can be resolved if we take two systems, or two points of views seriously, of which Hume himself presents in the Treati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