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운 멤논의 노래 - 보들레르의 시학과 황혼의 서정론 (Le chant d’un nouveau Memnon. Lyrisme et poétique du crépuscule chez Baudelair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2.11
41P 미리보기
새로운 멤논의 노래 - 보들레르의 시학과 황혼의 서정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 / 82권 / 247 ~ 287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현

    초록

    과거의 방식으로 서정시를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함에 직면한 시인보들레르는 전통적인 시적 서정의 장소인 여명을 황혼으로 대체한다. 삶과 세계의 유한성에 대한 극대화된 인식을 통해 황혼은 보들레르에게 단순한 데카당스의 상징을 넘어 그 현대적 시학의 실험 장소가 된다. 보들레르의 낭만적 체험 및 이상 추구는 황혼의 은유적 공간 속에서 현대세계 및 시에 대한 성찰과 만나 드문 조화를 이룬다. 『악의 꽃 의 「우울(76)」은 멤논 전설의 전복을 통해 ‘저녁에 노래하는’ 현대의 시적 자아의 이미지를 세운다. 같은 시집 속 두 쌍의 ‘새벽-황혼’ 이부작(「 심령의 새벽」-「저녁의 해조」와 「저녁 어스름」-「아침 어스름」)은 ‘새벽’ 에 대한 환멸과 현대적인 시적 이상의 탐색 의도를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특히 「저녁의 해조」는 황혼 풍경과 팡툼 형식의 결합을 통한 초자연주의의 시학으로 새로운 멤논의 ‘황혼의 노래’를 실천한다.

    영어초록

    Confronté aux difficultés, voire à l’impossibilité, de faire la poésie lyrique à la façon traditionnelle, Baudelaire s’appuie souvent sur l’image du crépuscule, et ceci au détriment de celle de l’aube, ce lieu séculaire du chant et de l’espoir poétiques. En effet, désillusionné quant à la pureté de l’inspiration par l’aurore, Baudelaire a vu dans le crépuscule, au-delà d’un symbole de décadence, le lieu d’expérimentation par excellence de sa poétique moderne : cette espace métaphorique, où s’intensifie particulièrement sa conscience de la finitude, lui confère un accord exceptionnel entre la poursuite de l’idéal romantique, l’expression des expériences de l’intimité et la réflexion critique et historique sur la vie moderne. Ainsi, renversant la mythologie du Memnon dans Spleen LXXVI,il dresse la figure d’un moi poétique qui chante le soir ; les deux cycles du crépuscule-aube, soit L’Aube spirituelle–Harmonie du soir et Le Crépuscule du soir-Le Crépuscule du matin, illustrant ce renversement et leurs crépuscules, aboutissent chacun à l’essai d’une poétique expérimentale. L’un d’eux notamment, Harmonie du soir, articulant, dans sa réflexion crépusculaire sur la finitude, la forme du pantoum avec le paysage du soir, incarne une poétique qu’on peut caractériser comme proprement surnaturaliste chez Baudelaire. Ainsi ce poème devient-il un chant unique, particulièrement réussi, des Fleurs du M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