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기 입목수혈에 대한 새로운 접근 (A New Approach to Interpretation of Songgukri-Culture of Bronze Age Tree Pole Pit)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01
27P 미리보기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기 입목수혈에 대한 새로운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고고학 / 98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유병록

    초록

    청동기시대에 농경의 비중이 높아지는 가운데 농경의례 역시 활발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실증적 증거를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임에도 이종철(2015;2018;2021;2022;2023)은 대형취락의 입목수혈을 근거로 다양한 제의적 요소를 찾아내었을 뿐 아니라 선-원사시대 솟대의 등장에 대한 기원문제까지도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치밀하게 논증하였다.
    그러나 입목수혈을 둘러싼 제의 논의는 진안 여의곡유적과 김해 율하리유적 두 곳의 사례가 가장 주된 역할을 한 만큼 유사사례를 통해 그 진의를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사실 두 유적의 경우 모두 하나의 입목수혈이 확인되지만 취락내 각기 다른 영역을 연결하는 매개체라고 하기보다는 묘역의 부속시설일 가능성 더 커 보인다. 더구나 대구 지역의 여러 유사한 사례를 검토한 결과 묘역의 경계 및 무덤 조성 순서를 지침하는 묘표 역할이 더 확연해 보였다. 그리고 이종철이 주장하였던 입대목 제의는 대구 동천동유적의 사례처럼 두 개의 입목수혈이 같이 확인되는 경우에 그 신빙성이 더 높아 보인다는 점에서 같은 입목수혈이라고 하더라도 그 위치에 따라 그 역할이 전혀 다를 수 있다.
    나아가 입대목 제의와 솟대를 별도의 기원을 가진 것으로 판단하였던 기존 의견에도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는데, 솟대 상부에 장식된 새의 조형(鳥神)은 이미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부리형석기로 형상화되어 유래되었음을 고증하고자 하였다. 이는 결국 입대목 제의와 솟대는 분리될 수 없는 청동기시대 농경문화의 한 유산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It is estimated that as relative importance of agriculture increased during bronze age, agricultural rituals became active. Finding empirical evidence is very difficult but Lee Jongcheol(2015;2018:2021) not only discovered various ritual elements based on tree pole pit in large settlements but also demonstrated origination of appearance of Korean totem pole during prehistoric-primitive age based on archaelogical data.
    However, in discussion about ritual surrounding tree pole pit, cases of Jinan Yeouigog site and Gimhae Yulhari site played the most leading role and thus it was necessary to figure out real intention. Actually, in cases of above both two sites, one tree pole pit was found but it seems that such tree pole pit is a facility attached to graveyard rather than medium connecting different area in settlement. In addition, when examining several similar cases in Daegu region, role of guiding boundary of graveyard and order of construction of graves seemed clearer. In big tree ritual which Lee Jongcheol argued, case that two tree pole pits are found together like the case of Daegu Dongcheondong site seems more dependable. Even the same tree pole pits differ in their roles depending on their location.
    The author of this paper pointed out that existing opinions which considered big tree rituals and Korean totem poles as separate origin and facility are problematic and shape of bird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was embodied as the beak-shaped stone tool from the first period of Bronze Age. Big tree ritual and Korean totem pole are meaningful as inseparable heritage of agricultural culture during Bronze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