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근 조선시대사 연구의 역사 인식과 새로운 방향 모색 (Awareness of History in the Recent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and Seeking a New Direction)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6
43P 미리보기
최근 조선시대사 연구의 역사 인식과 새로운 방향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105호 / 7 ~ 49페이지
    · 저자명 : 배항섭

    초록

    이글은 최근 제시된 내재적 발전론 비판을 그것이 가진 역사인식이라는 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이어서 내재적 발전론에 비판적인 시각을 담고 있는 연구 성과들이 조선시대사의 전체상을 구성하기 위해 좀 더 고민해야할 점들을 제시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선의 역사상을 새롭게 구축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근대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비판은 ‘발전론’ 쪽보다는 대체로 그것이 가진 내재성, 곧 일국사적 시각에 갇혀 있었다는 점에 대한 비판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반면 내재적 발전론이 가진 근대중심주의(modernocentrism)나 발전론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비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근대중심적 역사인식에 대한 자각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한편 내재적 발전론을 비판하는 연구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단편적인 사실들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도 많지만, 내재적 발전론과는 다른 시각에서 조선시대를 이해하고 새로운 조선시대상을 구축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는 연구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각자의 연구들을 조선시대의 전체적인 역사 과정과 구조 속에서 어떻게 위치 지울지, 다른 부문들과의 상호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좀 더 폭넓은 고민이 필요하다.
    새로운 조선시대의 역사상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구중심주의와 근대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요청된다. 서구가 규정해 놓은 근대성 여부에 초점을 맞출 경우 조선사회에 대한 전체적 이해는 처음부터 차단되어버린다. 조선사회의 성격은 물론 그것이 인류사의 경험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구 중심적ㆍ근대 중심적 역사인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인식론이 요청된다. 그래야만 조선시대의 다양한 경험이나 법과 제도 등이 다만 억압되고 청산되어야 할 구닥다리 고물이 아니라, ‘근대 이후’ 혹은 ‘근대 너머’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과 가능성을 만들어 나가는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recent criticism of the theory of intrinsic development in terms of its historical perception. Subsequently, the research results, which contain a critical view of the theory of intrinsic development, presented more points to consider in order to form the overall image of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Finally, the research direction to newly establish the history of Joseon was examined in the context of criticism of modernocentrism.
    Criticism of the theory of intrinsic development is dominated by criticism that it was generally trapped in its an intrinsic character, or a national historical perspective, rather than the ‘development theory’.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proper criticism of the modernocentrism or development theory of the intrinsic theory of development. This is because, above all,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moderncentric historical awareness.
    Meanwhile, many studies criticizing the theory of intrinsic development are being produced. There are many empirical studies on fragmentary facts, but there are many studies aimed at understanding the Joseon Dynast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theory of intrinsic development and establishing a new historical image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it is necessary to think more broadly about how to place each study in the overall historical process and struc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how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s with other sectors.
    In order to form a new historical image of the Joseon Dynasty, above all, a critical perspective on eurocentrism and modernocentrism is required. If the focus is on the modernity prescribed by the West,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Joseon society is blocked from the beginn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Joseon society as well as what it means in the experience of human history, a new epistemology beyond eurocentric and modernocentric historical awareness is required. Only then can various experiences, laws, and systems of the Joseon Dynasty be a resource to create new imaginations and possibilities for “post-modern” or “over-modern” rather than just old junk that should be suppressed and liquid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