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단군운동’의 새로운 전개와 ‘丹學’ (The new development of ‘Dahngun movement’ in contemporary Korea and ‘Dahnhak’)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5.08
52P 미리보기
현대 ‘단군운동’의 새로운 전개와 ‘丹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仙道文化 / 19권 / 143 ~ 194페이지
    · 저자명 : 정경희

    초록

    1970년대말⋅1980년대초 이후 선도가 선도수련문화의 형태로 부흥하면서 선도실천운동으로서의 ‘단군운동’ 또한 되살아나게 되었다.
    선도의 ‘실천론’인 ‘공완론(홍익인간⋅재세이화론)’은 ‘모든 사람들 속에 내재된 생명력(선도 기학으로는 ‘一氣⋅三氣’)의 회복’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한국사 속에서 선도실천운동은 한결같이 단군을 상징으로 하는 ‘단군운동’의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역사적으로는 삼성이 大司祭(‘선도 스승’)이자 군왕으로서, 또 선도적으로는 선도수련의전범으로서 한국선도의 상징이 되었고 이로써 선도실천운동에 있어서도 구심이 되어 강한 결집력과 실천력의 원천이 되었던 때문이었다.
    현대의 단군운동은 크게 1980⋅90년대의 ‘한문화운동’ 및 2000년대이후의 ‘국학운동-지구인운동’으로 나뉜다. ‘한문화운동’의 경우, 이시기 선도가 민족종교의 형태에서 선도수련문화의 형태로 달라졌기에기왕의 단군운동과 달리 단군을 종교적 신앙 대상이 아니라 내적 수련의 전범으로 바라보는 차이가 있었다. 2000년대 이후 선도가 국내를 넘어 세계로 확산되면서 단군운동의 전개 양상 또한 달라져, 한문화운동은 국내 차원으로는 ‘국학운동’, 세계 차원으로는 ‘지구인운동’ 으로 분리⋅병행되었다.
    국학운동은 대체로 ‘국사개정 및 국사교육 강화운동’의 형태로 드러났는데 특히 국학 연구와도 병행, 국사학계의 오랜 난제인 강단사학과 재야사학의 입장 차이를 좁히는 역할을 하였다. 지구인운동에이르러서는 단군 상징이 주는 한국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지구나전체 인류를 의미하는 새로운 상징으로서 마고 상징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마고는 선도 기학의 출발점인 근원의 생명력(‘일기⋅삼기’)을의미하기에 단군과 마찬가지로 수련적 의미를 담고 있다.
    현대 단군운동을 둘러싼 공방의 중심에는 선도를 무속으로, 단군을 우상으로, 또 한국사에서 단군조선을 인정하지 않는 기독교세력의 한국선도에 대한 깊은 오해가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오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국사 전통에서 선도나 단군이 지닌오랜 역사성, 또 선도의 기학적인 사유 체계나 수련적 본령 등을 이해하는 역사⋅사상적 안목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In reflective mood on the westernization trends, Korean Sundo was emerged as a national tradition by the late 1970s and early 80s. At the same time, ‘Dahngun movement’ as ‘Sundo practice movement’ also was come to life again.
    The point of ‘Kongwan theory’(‘Hongik-ingan弘益人間⋅Jaese-leehwa 在世理化’) as ‘Sundo practice theory’ is the recovery of vitality inherent in all people. However, practical ‘Sundo practice movement’ always has been emerged as ‘Dangun movement’ that has the symbol of Dangun.
    It’s because Dangun has been the symbol of Korean Sundo as the model of Sundo discipline and has done a role as the centripetal force of the Sundo practice movement.
    Contemporary Dangun movement could be divided into ‘Hanmunhwa movement’ of the 1980⋅90’s and ‘Koreanology movement - Earth citizen movement’ of the 2000s. While modern Sundo was taken the form of a religion, contemporary Sundo was taken the form of a discipline that is the core of Korean Sundo. Accordingly the cognizance of Dangun of ‘Hanmunhwa movement’ was changed from the divinity of religious beliefs to the model of Sundo discipline.
    Since the 2000s, Sundo discipline culture has been spread around the world, the development aspects of the Dangun movement also has been changed significantly. Shortly, ‘Hanmunhwa movement’ was divided into ‘Koreanology movement’ at a domestic level and ‘Earth citizen movement’ at a global level. Both movements were combined side by side.
    Generally ‘Koreanology movement’ was developed as the form of ‘the movement for a amendments to national history and a strengthening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Coming to the phase of ‘Earth citizen movement’, as the scale of movement was expanded to a global scale, the new symbol of Margo that means the earth and the entire human race was emphasized instead of the symbol of Dangun.
    As both ‘Koreanology movement’ and ‘Earth citizen movement’ were faithful to the original form of Korean Sundo and expanded on a large scale, Christian forces started Anti-Dahngun movement. Christian forces misunderstand Korean Sundo as shamanism and Dangun as idol. In addition, they don’t recognize the Dangun Joseon in Korean history. In order to escape from these misunderstandings, primarily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 such as understanding Korean Sundo and Dangun in Korean history is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仙道文化”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