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1세기 새로운 연극의 대안으로서 ‘새로운 사실주의’의 미학적 의미 (‘New Realism’'s Aesthetic Meaning as a New Alternative of 21st-Century Theate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1.02
34P 미리보기
21세기 새로운 연극의 대안으로서 ‘새로운 사실주의’의 미학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63호 / 119 ~ 152페이지
    · 저자명 : 하형주

    초록

    최근 필자는 현대 연극에서 가장 중요한 논의인 포스트모던 연극/예술과 이 포스트모던 연극/예술이 가지는 한계에 대하여 언급했었다. 하지만, 여전히 위계적 프레임 안에서 돌아가고 있는 우리의 사회구조적 현실 안에서, 포스트모던 사상이 주장하는 비-위계적, 탈-중심적 인식은 필수불가결하게 요구되어져야 한다. 그래서, 필자의 관심은 포스트모던의 탈-중심적 인식을 간직하면서 한 예술가의 작품이 지니는 독창성, 그 예술가의 영혼의 흐름, 내적 구성을 담보해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오브제의 물성에 머무르는 ‘전시된’ 연극 혹은 방향성을 상실한 ‘대안 없는 해체’로 향해가는 연극을 어떻게 대중과 소통가능하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이 두 가지 고민은 얼핏 보면 아무것도 주장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한 예술가의 독창적인 힘을 드러내야 한다는 모순적인 두 주장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는 듯 보인다. 하지만, 포스트모던 예술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행한 철학자,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 1940~ )의 모방적 방식의 차용가능성에 대한 깊이 있는 반성적 사유에 빚지며 이 문제를 풀어나가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논문에서는 미메시스의 개념을 살펴보면서, 전통적 인식론의 주체와 객체의 분리를 극복하고자 했었던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과 테오도르 아도르노(Theodor W. Adorno, 1903~1969)의 미메시스에 대한 생각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이 이론가들에 의하면 미메시스는 대상을 자신의 것으로 소유하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대상과 닮게 만들고자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미메시스는 동일성 사유가 억압하는 비동일성을 사유하는 태도로서 언급된다. 미메시스에 대한 이러한 개념과 함께 그동안 연극사에서 다루어진 사실주의, 즉 두 가지 사실주의를 살펴보면서,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제 3의 ‘새로운 사실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새로운 사실주의’는 위의 두 가지 사실주의와 구분되면서 단순히 현실을 재생산하는 것과 전적으로 다른 미학적 의미를 조엘 폼므라의 『두 한국의 통일』과 최원종 작/연출의 <청춘, 간다>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 have recently commented about the most cardinal theme in the contemporary theater and its limitations. And yet, I still realize that non-hierachical, decentralized perceptions asserted by postmodernism are indispensably requested in our society's structural reality resting heavily on a hierachical frame.
    Thus, my concern inevitably highlights how to capture an artist's creativity, the stream of his or her soul, and inner composition retaining postmodernism’s decentralized perception. In addition, the reality is how to make the ‘displayed’ theater that sticks only to an object’s physical property or the theater that proceeds toward ‘deconstruction without an alternative’ communicate with the general public. Unmasking an artist’s creative power while advocating nothing seems to be severely opposed in these two types of concerns. All the same, this study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owing much to profoundly reflective thought on the possibility of appropriating an imitative way from Jacques Ranciere (1940~ ).
    Reviewing the concept of mimesis, this thesis briefly examines the ideas on mimesis by Walter Benjamin (1892~1940) and Theodor Adorno (1903~1969) who tried to overcome the separ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asserted by traditional epistemology. For these theorists, "mimesis" is not to possess an object as his or hers but make oneself resemble the object. Therefore, mimesis is regarded as an attitude to meditate on nonidentity suppressed by identical thought. Shedding light on two modes of realism addressed in a theatrical history alongside the concept of mimesis,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hird ‘new realism’. This ‘new realism’ distinguished from the two modes of realism mentioned above brings about aesthetic meanings completely different from simply reproducing the reality. This study considers this view with its focus on La réunification des deux Corées by Joël Pommerat and <Youth, Gone> directed by Choi Won-j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