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도비를 활용한 제주도 중산간지역 오름의 자연・환경적 공간분포 특성 분석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Natural Environmental of Oreum Using the Likelihood Ratio at the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9.08
11P 미리보기
우도비를 활용한 제주도 중산간지역 오름의 자연・환경적 공간분포 특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지리학회지 / 8권 / 2호 / 193 ~ 203페이지
    · 저자명 : 윤혜연, 장동호

    초록

    본 연구는 베이지안 확률 기반 우도비를 활용하여 제주도 중산간지역에 위치한 오름의 자연・환경적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도비 결과, 사면향, 유효토심, 지질은 오름과의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도, 경사, 토양 배수, 임상, 토지피복 등은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중산간지역 오름의 자연・환경적 공간분포 특성을 도출한 결과, 중산간지역 오름은 대부분 고도 300-400m(33.8%)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사는 20-30°(48.3%), 사면향은 남-남동(26.8%)에 오름이 다수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오름의 토양 배수등급은 70.2%가 양호에 속하며, 유효토심은 50-100cm(66.0%)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은 침엽수 인공림(27.8%)과 활엽수림(24.0%)에 오름이 가장 많이 분포하며, 지질은 제4기 조면현무암(Ⅲ)(43.6%)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이밖에 오름의 토지피복은 산림지역과 초지가 각각 79.9%, 초지 19.1%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향후 산출된 우도비 결과 값은 GIS 공간통합 모델을 활용한 오름의 공간분포 특성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natural environmental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eum, located in the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by employing a likelihood ratio based on Bayesian probability. The result of the likelihood ratio did not display a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aspect, effective soil depth, geologic and Oreum. However, a high correlation was displayed with the elevation, slope, soil drainage, forest type, and land-cover. The result of ascertaining in the mid-mountain area based on thereon demonstrated that the greatest distribution is seen mostly at a elevation of 300-400m (33.8%). Eventually Oreum was highly distributed at the angle of 20-30° (48.3%) and with a South-Southeast direction (26.8%). Furthermore, the soil drainage level of Oreum was found to be well drained at 70.2% and the effective soil depth was highly distributed at 50-100cm (66.0%). In terms of forest type, the highest distribution of coniferous plantain (27.8%) and broad-leaved forest (24.0%) was seen in Oreum, and in terms of geological map was shown trachy-basalt (Ⅲ) of Quaternary (43.6%) is the highest distribution. Moreover, the land-cover of Oreum was highly distributed of forest areas (79.9%) and grass land (19.1%) individually. The likelihood ratio results to be calculated and w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eum using a GIS spatial integration mod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