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愚潭 丁時翰은 退溪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四七辨證}을 중심으로 (Woodam Jeong Si-han's Understanding of Toegy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0.06
22P 미리보기
愚潭 丁時翰은 退溪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 {四七辨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29호 / 33 ~ 54페이지
    · 저자명 : 강희복

    초록

    이 논문에서는 퇴계학파가 형성되고 전개되는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인물인 愚潭 丁時翰(1625-1707)이 退溪(1501-1570)의 사상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하는 문제에 대하여, {四七辨證}에 나타난 우담의 관점과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愚潭은 17세기의 一元論과 二元論이 양립하는 시대를 살았다고 할 수 있는데, 퇴계의 사상에 대한 우담의 이해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담은 기본적으로 퇴계를 주자의 정통으로 보면서, 理氣에 대한 변론(理氣之辨)과 性情의 근원(性情之原)에 대한 퇴계의 眞知⋅實得을 따르고 실천하려고 하였다.
    둘째, 우담은 옛날과 지금 사람들의 學問이 어긋난 이유는 다만 ‘理’字를 알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發하는 것은 氣이고, 發하는 까닭은 理이다”라는 栗谷의 주장을 비판하고, 이치(理)의 궁극적 실재성⋅운동성(작용성)⋅근원성(주재성)과 이치(理)의 體用을 주장하는 퇴계의 견해를 따르지만, “理氣가 妙合한 가운데, 理는 항상 主가 되고 氣는 항상 輔가 된다”(理主氣輔)고 하면서 퇴계의 학설을 더욱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우담은 같음(同) 가운데서도 다름(異)을 볼 수 있고 다름(異) 가운데서도 같음(同)을 볼 수 있으며, 분석(分開)할 때는 분석하고 종합(渾淪)할 때는 종합하면서도 이를 입체적(通看)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퇴계의 정신을 따르면서, 율곡의 학설을 비판하고 퇴계의 互發說을 옹호하였다.
    이렇게 볼 때 우담은 퇴계의 理氣와 心性에 관한 견해를 깊고 바르게 이해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퇴계의 정신에 따라서 실천하며 살려고 노력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Woodam(愚潭) Jeong Si-han(丁時翰, 1625-1707)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oegye School. This writing explores the way Woodam understood the thought of Toegye(退溪, 1501-1570) as presented in The Book of Four-Seve Demonstration(四七辨證)The 17th century that Woodam lived in was the period in which monism and dualism coexisted. Woodam's understanding of Toegye's though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oodam followed Toegye's li(理)-qi(氣) defense and his view on the origin of nature and emotion, acknowledging Toegye as the orthodox transmitter of Zhu Xi's teachings,2) Woodam consider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st and the contemporary teachings was simply caused by the difficulty of comprehending the character "li (principle) ". Thus he criticized Yulgok(栗谷, 1536-1584)'s claim that "that which rises is qi (material force), and that which gives rise to qi is li," and followed instead Toegye's views of the entivity, dynamism, and ultimacy of li and its substantial function. Yet, Woodam further developed Toegye's thought and asserted that "in the midst of the marvelous unity of li and qi, li is always dominant and qi is always ancillary."3) Woodam criticized Yulgok's thought and advocated Toegye's doctrine of the mutual motion of li and qi(理氣互發說), thereby following Toegye's insistence that difference can be observed in sameness and sameness can be observed in difference, that integrative thinking is needed to constructively embrace both analytic and synthetic judgments.
    In conclusion, Woodam understood profoundly and correctly Toegye'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 and qi and between nature and emotion, and explained them more concretely. In so doing, he endeavored to live the life by the teachings of Toegy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