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궁중 우희(優戲)의 소통 맥락과 풍자성 -세조~연산군 연간을 중심으로- (U-hui’s communication context and satire -Focusing on the period between Sejo and Yeonsan-gu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2.06
29P 미리보기
궁중 우희(優戲)의 소통 맥락과 풍자성 -세조~연산군 연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66호 / 9 ~ 37페이지
    · 저자명 : 이보람

    초록

    본고는 조선 세조 대에서 연산군 대의 궁중 우희 작품을 검토하여, 해당 우희에서 풍자성이 실현되는 구체적인 맥락을 추론하였다.
    <당상관놀이>는 세조 대 이후 예종 대까지 이어진 훈구공신 세력의 성장과 관직 독점으로 인한 문제가 제기된 사회문화적 맥락이 의미 형성에 주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당상관놀이>의 공연 맥락에서 관객은 조소를 표현함으로써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한다. 이후 사관이 훈구공신에 대해 비판적인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당상관놀이>를 선택하는 행위 역시 의사소통 과정에 참여하여 풍자적 의미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연산군 대의 공결과 공길의 우희는 성종 대 이후 성장한 삼사의 언간 기능과 이를 억제하고자하는 왕권의 대립이라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사화와 익명서 사건을 거치면서 언간의 언론 기능이 제한된 상황에서 연행된 두 우희는 언관들이 간언하는 장면을 극으로 연출한 것이다. 이 우희들은 극 중 맥락 내에 청자를 두지 않고, 신하가 왕에게 간언하는 장면을 그대로 극으로 재현하였다. 이를 통해 신하가 임금에게 직접 간언하는 방식으로 신하들의 목소리를 이해할 수 있다.
    전통 연희에서 풍자는 주로 피지배 계층의 반봉건 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가면극, 판소리 등의 극 갈래에서도 이와 유사하다. 그러나 우희의 풍자성은 그 외에 왕권과 신권 사이에서 정치적 역할을 함으로써 구현되는 바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신하들이 언로로 활용한 우희로 범위를 한정하여, 풍자를 통해 신하들의 목소리가 우희의 의사소통 과정에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살핀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ed to infer the specific context in which satire is realized in the U-hui by reviewing the works of King Yeonsangun’s court performance in King Sejo of the court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Dangsanggwannori>,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the problems caused by the monopoly of government office and the growth of the Hungu contribution forces from the King Sejo to the Yejong period are instrumental in the formation of meaning. Additionally, in the context of the performance of <Dangsanggwannori>, the audience participate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by expressing ridicule. Since then, it has been seen that the act of choosing <Dangsanggwannori> by the officer to support the critical argument about the contribution of the discipline also participate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o form meaning.
    Through the performances of Gonggyeol and Gonggil in Yeonsangun,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acrificial function of Samsa, who grew up after Seongjong, and the power of the king to suppress it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two U-hui who were arrested while the media functions of the words were limited through the case of a private painting and anonymous book were used to produce a scene in which the speakers to be admonished. These U-hui did not place a celadon in the context of one play but reproduced the scene in which the servant admonished the king as it was. Therefore, the effect of adjusting so that the subjects in the context of the play and the king in the context of the performance belong to the same context is shown. Through this, the voices of the subjects can be understood in a way in which the subjects directly admonish the king.
    In traditional performances, satire is mainly understood to reflect the anti-feudal consciousness of the governed. This is similar in the theater, such as with masquerade and Pansori. However, U-hui's satire was realized by playing a political role between the royal and the divine powers. In this article, the scope of the play used by the subjects in words was limit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voices of the subjects were reflected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the play was examined through sat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