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유학의 형이상학 전환 — 이체기용(理體氣用)에서 이승기기(理乘氣機)에로 — (he Metaphysical Paradigm-Shift in Neo-Confucianism - The Transition from ‘li t'i ch'i yong(理體氣用)’ to ‘li ch'eng ch'i chi(理乘氣機)’)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9.02
38P 미리보기
신유학의 형이상학 전환 — 이체기용(理體氣用)에서 이승기기(理乘氣機)에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97호 / 163 ~ 200페이지
    · 저자명 : 김기현

    초록

    이 글은 성리학(주자학)이 의거하고 있는 형이상학이 동아시아의 형이상학 역사에서 기존의 것을 대체하여 새롭게 건립된 것이었음을 논의한 것이다. 주희에 의해 정립된 이 새로운 형이상학은 “태극자 본연지묘야; 동정자 소승지기야(太極者, 本然之妙也; 動靜者, 所乘之機也.” 16글자를 근간(根幹)으로 한다. 이 언명의 실질적 내용은 리(理)와 기(氣)의 관계에 대한 규정이다. 성리학의 정립자인 주희의 관점에서 볼 때, 형이상자인 리와 형이하자인 기의 관계에 대해 기존 이학은 이체기용(理體氣用)의 사상을 갖고 있었다. 이체기용 사상이 갖고 있는 문제점에 관해 주희가 반복하여 말한 것은 ‘형이상자와 형이하자는 분별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분명한 사실은 주희가 새롭게 제시한 대안인 이승기기(理乘氣機) 사상이 형이상학 면에서 기존의 이체기용 사상과는 근본적으로 노선을 달리 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이 글에서 측은지심 등의 본심(本心)을 사례로 비교 고찰하는 가운데 주희가 문제시한 것들이 무엇이었는지를 추정해낸다. 첫째, 음양 오행의 부단한 운동 변화 과정인 현실 세계를 호상학자들이나 육구연처럼 형이상자인 리의 직접적인 운동 변화로만 설명하는 것은 ‘역유태극(易有太極)’명제를 핵심으로 하는 『주역』의 도덕형이상학에 맞지 않는다. 도덕, 즉 선은 운동 변화 과정의 산물이다. 선의 창출은 리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리와 기의 공조(共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 주희의 도덕형이상학 입장이다. 둘째, 주희가 볼 때, 이체기용 노선의 이학에 의한다면 공부란 선천적 선심(善心)인 본심이 발현되기를 기다리는 것이고, 그 이전에 평상시에 해 두어야 하는 공부가 없다. 주희에 의하면, 선천적 선심을 확충하는 것보다 더 주력해야 하는 공부는 평상시에 함양하는 공부이다. 노선 간의 이러한 본질적인 차이는 신유학인 성리학이 의거하는 형이상학과 기존의 이학들이 의거하는 형이상학 간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그러나 리가 선의 창출을 주재한다는 점에서는 두 도덕형이상학 간에 차이가 없다. 다만 이체기용 형이상학에서는 리가 직접 활동함으로써 천리(형이상자)의 현현(顯現)이 이루어지는 반면 이승기기 형이상학에서는 형이상자가 기(氣)의 기(機)에 승(乘)하여 기(氣)의 운행 과정에 간여(干與)하는 가운데 선의 창출을 주재하는 차이가 있다. 당연히 리의 성격에도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두 형이상학 간의 이러한 차이들에 대해 무지하거나 차이를 인정하지 않으면, 철학적 오해가 쌓여가게 되고, 지금까지 적지 않게 그래왔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at metaphysics underlying Neo-Confucianism was the first to emerge in the metaphysical history of East Asia. This new metaphysics established by Chu Hsi is based on the 16 Chinese characters of “The Great Ultimate is the originally-so; motion and tranquility is the chi that is being ridden on (太極者, 本然之妙也; 動靜者, 所乘之機也).” The substantive content of this statement is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From the viewpoint of Chu Hsi who established Neo-Confucianism, the existing Li-Philosophy regarded the Principle to be the substance and the Material Force to be its active func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as the prior form and the Material Force as the posterior form. What Chu Hsi mentioned repeatedly about the problem in Li t’i ch’i yong’s(理體氣用) formula (or The Great Ultimate is the substance and the motions are its active function) was that ‘it is necessary to discern the prior form and the posterior form.’ Obviously, Li ch’eng ch’i chi(理乘氣機) proposed newly by Chu Hsi as an alternativ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Li t’i ch’i yong formula in metaphysical terms.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original mind such as in the Mind of Compassion(惻隱之心) using examples, this study explores what kind of problems Chu Hsi posed and encountered. First, like the Confucians of the Hu-Xiang school or Lu Chiu-Yuan, explaining the real world, which is a process of constant movement and change of Yin and Yang and the Five Agents, only as a direct movement and change of the Principle, which is the prior form, does not fit the moral metaphysics of the Book of I Ching whose core is the proposition ‘Change constitutes the Great Ultimate.’ Morality, or goodness, is the product of the process of movement and change. According to Chu Hsi’s moral metaphysics, goodness is created by the Great Ultimate as well as by the combination of the Great Ultimate and the Material Force. Second, Chu Hsi argues that, in terms of Li-Philosophy in the metaphysics of Li t’i ch’i yong, self-cultivation is to wait for the original mind, as an innate good mind, to be manifested, and so it does not have to be done before that time. The systems of Li-Philosophy based on the metaphysics of Li t’i ch’i yong are focused on self-cultivation of holding and expanding the manifested original mind. Therefore, there is no self-cultivation to carry out before the original mind is manifested. Chu Hsi argues that self-cultivation which is carried out in everyday life needs to be focused rather than the expansion of the afore-mentioned innate good mind. This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is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lines stem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taphysics on which Neo-Confucianism is based and the metaphysics on which existing Li-Philosophies are based.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rals of metaphysics in that the Great Ultimate presides over the creation of goodness. In the metaphysics of Li t’i ch’i yong, the prior form achieves self-development by the Principle’s direct action. By contrast, in the metaphysics of Li ch’eng ch’i chi, the prior form presides over the creation of goodness while riding on the Chi of the Material Force and getting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the Material Force. As a result, these two schools of metaphysics also make a difference in the nature of Li (or the Principle). As it has been done so far, no knowledge or acknowledgement of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branches of metaphysics has caused any philosophical mis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