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욕은 ‘하류층’의 언어인가?: 한국 청소년의 가족배경, 거주지, 연령 및 젠더별 욕설의 사회적 맥락과 실천 (Is Swearing an “Underclass” Language? : The Social Contexts and Practices of Swear Words among Korean Adolescent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3.08
46P 미리보기
욕은 ‘하류층’의 언어인가?: 한국 청소년의 가족배경, 거주지, 연령 및 젠더별 욕설의 사회적 맥락과 실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7권 / 3호 / 33 ~ 78페이지
    · 저자명 : 정예은, 최성수

    초록

    욕설은 ‘저급하고 배우지 못한’ 사회적·경제적 하위계층 집단의 언어로 흔히 인식되어 왔다. 특히 청소년기 욕설 사용은 교정과 계도의 대상이자 교육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탈적 행태로 간주된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청소년층에서 광범위하게 관찰되는 욕설 사용이 하위계층 집단에 귀속되는 문화인지 아니면 성장기를 거치며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또래문화인지 질문한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의 욕설에 대한 이해와 사용 맥락, 그리고 실천이 사회경제적 여건(가족배경, 거주지역), 연령, 젠더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혹은 다르지 않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전국 중·고등학생을 포괄하는 청소년 욕설실태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크게 네 가지 주요한 양상이 나타났다. 첫째, 청소년들의 욕설 사용 시작 시기나 이해, 맥락, 사용 빈도에서 부모 학력과 직업으로 측정된 가족의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둘째, 서울 및 수도권 지역 거주 청소년들과 비교해 지방 소도시 및 도서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은 욕설적 표현에 대한 용인 정도나 욕설 빈도에서 모두 낮은 양상을 보였다. 셋째, 연령이 높아지면서 성인기에 가까워질수록 욕설을 덜 사용하며 선별적 맥락에서만 사용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넷째, 남성보다 여성 청소년들이 욕설 사용 빈도나 용인도 등이 모두 낮았으며 지역과 연령에 따른 차이 역시 젠더 간 다르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한국 청소년들의 욕설이 계층화된 그리고 교정되어야 할 언어라기보다 청소년들이 전반적으로 공유하고 성인기를 향한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또래문화임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Swearing has been associated with underclass language, perceived as vulgar, uneducated, and lacking legitimacy. The use of swear words by adolescents, particularly, has been considered deviant behavior in need of correct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ether the prevalent use of swear words among Korean adolescents is a culture attributed to lower-class groups or a shared peer culture among adolescents across strata. We examine how adolescents judge swear words, employ them in various contexts, and use them, and how this varies by family background, area of residence, age, and gender. Our analysis of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Swearing Survey, encompass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employ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variate models, reveals four key finding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ing, perception, context, or frequency of adolescents' use of swear words by family background, as measured by parental education and occupation. Second, compared to adolescents residing i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those living in small towns and rural areas exhibit lower levels of tolerance and frequency regarding swear words. Third, as adolescents get older and approach adulthood, they tend to use swear words less and in more selective contexts. Lastly, female adolescents were less likely than male counterparts to use swear words, both in terms of frequency and tolerance, and the regional and age-related gaps are more pronounced among fema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wearing among Korean adolescents is a shared peer culture and a natural aspect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rather than a stratified or illegitimate form of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