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흥의 미륵 상생관 - 요간기의 과문과 사상을 중심으로 - (Gyungheung’s Thought on Maitreya’s Tuṣita-deva Rebirth - With Sentence-division and Idea of 料簡記 at the Center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4.12
26P 미리보기
경흥의 미륵 상생관 - 요간기의 과문과 사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109권 / 53 ~ 78페이지
    · 저자명 : 박민현

    초록

    경흥은 신라의 학승으로서 7세기의 인물이다. 그는 생전에 화엄경이나 문수보살과 관련된 신비한 종교적 체험도 하였다고 한다. 경흥은 수많은 저술을 남겼지만 현존하는 것은무량수경연의술문찬, 삼미륵경소, 금광명최승왕경약찬 뿐이다. 또한 다른 미륵 관련저술들도 모두 소실되어 그의 미륵사상은 삼미륵경소에만 의거할 수밖에 없다. 본 논문은미륵상생경요간기에 나타난 과문의 내용과 특징, 그리고 상생사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과문에서 경흥은 일반적으로 규기의 방식을 많이 차용하였지만 나름의 독창성을 담지하려고노력했다. 또한 상생경의 과문방식은 하생경이나 하생성불경과는 차별화하는 모습을보였다. 미륵상생관으로서 경흥은 3품의 중생들이 닦는 수행에 대해서 원효나 규기의 입장을 수용하기도 하고 차별화를 꾀하기도 했다. 미륵보살의 하생시기에 대해서 경흥은 일단세 가지로 회통하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경흥은 회통의 어려움을 고백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경흥은 근기설로서 이를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경흥은 미륵보살에 대해대보살로서의 지위를 강조하였다. 그는 미륵보살이 이미 보살의 수행을 완성하여 등각과 묘각의 지위에 올랐다는 점을 부각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다음 세대의 부처로 예정된 보처보살로서의 미륵에 대한 세상의 올바른 이해를 원했던 마음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Gyeongheung was a 7th-century scholar of Silla. It is said that he also had mysterious religious experiences related to the 華嚴經 and Munsu Bodhisattva during his life. Gyeongheung has left numerous writings, but the only works that exist are 無量壽經連義述文贊, 三彌勒經疏, and 金光明最勝 王經略贊. In addition, all other Maitreya-related writings have been lost, and his Maitreya-idea is bound to be based only on the 三彌勒經疏.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sentence-division(科文) and the idea born into Tuṣita-deva that appeared in the 彌勒上生經料簡記. In the sentence-division, Gyeongheung generally borrowed a lot of the method of Gyugi, but tried to contain his own originality. In addition, the sentencedivision method of the 上生經 was differentiated from the 下生經 or the 下 生成佛經. As a Maitreya’s idea on the Tuṣita-deva Rebirth, Gyeongheung accepted the positions of Wonhyo and Gyugi in the practice of people and tried to differentiate them. Regarding the Rebirth-time of Maitreya Bodhisattva, Gyeongheung first attempted to reconciliate in three ways. However, Gyeongheung also confessed to the difficulties of reconciliation. Nevertheless, Gyeongheung showed an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 as a theory of natural quality. Finally, Gyeongheung emphasized the status of Maitreya Bodhisattva as a great Bodhisattva. He appeared to emphasize that the Maitreya Bodhisattva had already completed the Bodhisattva’s practice and had risen to the position of equal enlightenment (等覺) and supreme enlightenment(妙 覺). This can be seen as a mind for the people’s correct understanding o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