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전기 방촌 황희 묘제의 특징과 요(凹) 자형 봉분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wang-Hui's Tomb and the Gib(凹)-shaped Tomb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8.12
56P 미리보기
조선 전기 방촌 황희 묘제의 특징과 요(凹) 자형 봉분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3호 / 109 ~ 164페이지
    · 저자명 : 정종수

    초록

    14세기 말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는 단순한 성씨의 교체가 아닌 주자학, 즉 유교라는 통치이념을 바탕으로 불교를 대신하여 주자학적 유학이 지배적인 사상으로 자리 잡는 시기로서 사회 제부분에 변동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여말선초의 종교사상적 유불(儒彿) 교체는 사생관이나 영혼관을 담고 있는 장묘제(葬墓制)에도 반영되어 사회적, 경제적으로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조선 전기는 상장의례의 제도적 성립과 함께 무덤 내부도 석실묘에서 모래와 석회, 흙을 섞어 만든 회곽묘(灰槨墓)로의 묘제 변천을 가져왔다. 또한 분묘의 외형도 고려는 일반적으로 호석을 두른 방형분(方形墳)인데 조선으로 넘어오면서, 둥근 모양의 원분(圓墳) 혹은 봉분의 꼬리를 둔 타원형으로 바뀐다. 특히 묘역에 배치되었던 각종 석물은 다양한 문화요소가 융합되어 그 시대 사람들의 사생관, 종교관, 사회생활 질서 등 사회구조를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방촌 황희의 장례 과정과 묘제의 형성은 매우 중요한 문화사적 의미를 지닌 문화유산이다.
    황희는 14세에 처음 관직에 나아가 태조・정종・태종・세종 4대에 걸쳐 유례가 없는 신임을 받고, 임금을 섬기면서 74년 간의 공직 생활 중 18년을 재상으로 있으면서 탁월한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였다. 태종대에 국가 통치체제 기틀을 확립하고, 이러한 기반과 안정을 바탕으로 세종대에 태평성대의 주역이자 공직자의 귀감으로, 청백리의 상징으로 일컬어졌다.
    방촌 황희의 상장의례는 철저히 주자가례에 의거 시행되었고, 나라에서 예장으로 장례를 치렀다. 황희의 묘제는 려말 선초의 과도기적 양식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 초기의 요(凹) 자 모양의 특이한 형식을 지니고 있어 당시 장묘제를 이해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료라는 점이다.
    사다리꼴 모양의 八자형 및 요(凹)자 형식은 조선 전기 110여 년간에 걸쳐 나타난 새로운 묘제로 경기지역 일부에서만 나타나는 특수 묘제이다. 이러한 특수 묘제는 바람을 막아 혈처를 편안하게 하고 지기가 흩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조선 전기에만 나타나는 특별한 양식이다.
    황희의 묘역은 조성 당시의 원형이 잘 남아 있고, 석물 배치 또한 조선 전기 양식을 대표하고 있다. 특히 문인석보다 상단 중계에 배치된 특이한 도상의 무인석은 주목할 만하며 묘제의 형식과 석물 양식은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중요한 묘역이다.
    또한 금석문으로서의 가치가 큰 신도비와 함께 부조묘가 묘역에 유존하고 있으며, 황희 묘역은 400여 년을 이어 계속된 조선시대 족장묘 형성과 의례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영어초록

    The change of dynasty from Goryeo to Joseon at the end of the 14th century brought about a large reform of all areas of society. This was just not a simple change of royal family's surname from Wang to Lee but the social changes caused by the convention from Buddhism to Neo-Confucianism, the dominant ideology and the ruling principle in the Joseon Dynasty. This change of ideology had a social economical impacts greatly on the Joseon dynasty, and also was reflected in the funeral system which embodies the perspectives of death and spiri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funeral system based on the Confucian ritualism was established institutionally and there were changes of inside/outside in the tombs. Internally, the stone chamber tombs were replaced by the tombs with lime-soil mixture barrier. Externally, the square-shape tombs with stone circle in the Goryeo Dynasty turned to the round or oval shaped tombs in the Joseon Dynasty. Also, various tombside stone sculptures consist of the different cultural elements and these are important materials to understand the social mechanism related to the perspectives of death and religion as well as public orders at that time. In this regard, both the funeral procedure for Hwang Hui and the formation of his tomb are the crucial cultural heritages in the cultural history of Korea.
    Hwang Hui(1363-1452), a scholarly bureaucrat, entered government service for the first time at the age of 14 and had the full confidence of a lineal succession of four kings(from Taejo to Sejong) in Joseon Dynasty. He showed outstanding capabilities serving as a prime minister of 18 years in his public career of 74 years. He played a leading role to build up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period of King Taejong and created the piping times of peace in the period of King Sejong countinuously. Hence, he has been known for the symbol of a cleanhanded and great government official.
    Hwang Hui was accorded a state funeral ceremony based on the Confucian ritualism impeccably. Thus, his tomb is the most pivotal sources to understand the funeral system of the time due to its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its unique gib-shaped style in the early Joseon. These new gib-shaped and trapezoid opening tombs are found in some parts of Gyeongi-do existing for 110 yea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oreover, these kind of tombs were originally designed to gather the energy from the land and be the ideal spot against the wind from the theory of topography.
    Hwang Hui's tomb remains well-preserved in its original form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and the layout of its stone statues represents of the typical tomb sty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specially, the stone statue of military official in the middle of the upper stairs above a civil official statue, has the special feature and is remarkable as tomb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Besides, the family shrine for his ancestors honored in perpetuity is located with a memorial stone as a valuable epigraph. Consequently, it is noticeable that Hwang Hui's tomb has shown the typical formation of the family tombs and funeral rites for 400 years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