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문교과 학습 요소로서의 ‘품사의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lexible Usage of Parts of Speech as the Component of Classical Chinese Learni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2.06
28P 미리보기
한문교과 학습 요소로서의 ‘품사의 활용’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91호 / 533 ~ 560페이지
    · 저자명 : 김성중

    초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Ⅰ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요소로 ‘품사의 활용’을 제시하고, 성취기준으로 “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품사가 바뀌는 ‘품사의 활용’을 구별한다.”를 명시하였다. ‘품사의 활용’이라는 학습 요소가 교육과정에 개념화된 것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부터이지만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의 해설서에서도 언어 현상의 묘사로 진술되어 학습 요소로 제시되었다. 이처럼 ‘품사의 활용’은 한문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상정된 문법 학습 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학계에는 ‘품사의 활용’에 대한 학적 연구 성과 정리와 그에 근거한, 중․고등학교 학교 현장에서 교수․학습 및 평가에 활용되는 예문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다.
    본고에서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집필된 고등학교 한문 Ⅰ 교과서 13종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품사의 활용을 학습 요소로 제시한 것을 전수 조사하였다. 실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에서는 총 6가지 유형을 상정하고 있는데 이 6가지 전체를 구현한 교과서는 없었으며 10개 교과서는 1가지만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에 제시하지 않은 유형을 제시하거나, 字와 단어를 분별하지 않는 경우, 본문에 없는 문장을 예시로 설명한 경우, 용례가 없이 문법 설명을 한 경우, 정보 제시가 명료하지 못한 경우 등이 있었다.
    상기한 여러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해 ‘품사의 활용’에 대한 학리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국내외의 연구 논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품사의 활용’에 대한 개념 정의, 분류, 판정 등에 있어 논란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여러 논란이 혼재하는 학문 문법의 내용을 단순 간략화하여 학교 문법으로 기술하는 것은 적절치 않기에 학문 문법을 간명, 간이화하여 학교 문법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고의 논의에 의할 때, 그동안 교육과정 내지 학교 문법에서 ‘품사의 활용’으로 규정, 설명되었던 언어 현상들은 ①동일 단어의 여러 다른 의미 항목 ②동일 의미항목의 비중심변체 ③하나의 단어가 여러 품사의 성질을 갖는 것 ④동형어 등으로 분석되는 것이 바람직할 듯하다. 한편 본고에서는 이에 근거한 교과서 기술 방식의 예도 시범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할 때 현재 ‘품사의 활용’을 학습 요소로 제시하는 것은 적절치 않으며 향후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삭제하고 단어 의미의 확장, 동형어 등으로 이해하고 이에 근거해서 교과서 문법 설명이 기술이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the high school Chinese character I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se of parts of speech’ is presented as a learning element, and “use of parts of speech, which changes depending on usage in sentences,” is specified as an achievement criterion. . The learning element of ‘use of parts of speech’ was conceptualized in the curriculum starting with the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presented As such, ‘use of parts of speech’ is a grammatical learning element that has been continuously assumed in the course of the transi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curriculum. However, in academia, there is still no research on the summary of academic research results on ‘Utilization of Part of Speech’ and examples of sentences used for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in the field of middle and high schools based on it.
    First, in this paper, the use of parts of speech as a learning factor was investigated for all 13 high school Chinese characters I textbooks written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urriculum, a total of 6 types are assumed, but there was no textbook that realized all of these 6 types, and only one textbook was presented in 10 textbooks.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where a type not presented in the curriculum was presented, letters and words were not distinguished, sentences not found in the text were explained with examples, grammar explanations were given without examples,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was not clear.
    In order to analyze and solve the causes of the above problems, an academic approach was attempted on ‘use of parts of speech’, and research papers at home and abroad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are controversies in the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judgment of the concept of ‘use of parts of speech’. Since it is not appropriate to simplify the contents of academic grammar, which is mixed with various controversies, and describe it as school grammar, we searched for ways to simplify and simplify academic grammar and apply it to school grammar. According to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linguistic phenomena that have been defined and explained as ‘use of parts of speech’ in the curriculum or school grammar are ① multiple different semantic items of the same word ② non-central variant of the same semantic item ③ one word has multiple It would be desirable to analyze it as a homomorphic word, etc. Meanwhile, in this paper, an example of the textbook description method based on this is also presented as a demonstration. Based on the above, it is not appropriate to present the current ‘use of parts of speech’ as ​​a learning element, and it is not appropriate to delete it in the future curriculum, to expand the meaning of words, to understand them as homologous words, etc. I think it would be prefer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