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영진단의견서(MD&A)의 국내외 사례연구 - 인텔과 삼성전자의 MD&A 비교분석 및 케이티(KT)의 미국과 국내용 MD&A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the Management Discussion and Analysis(MD&A) disclosure practice - The comparison between a Korean firm and a US firm, and the comparison between the local and the US MD&A disclosure p)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2.05
28P 미리보기
경영진단의견서(MD&A)의 국내외 사례연구 - 인텔과 삼성전자의 MD&A 비교분석 및 케이티(KT)의 미국과 국내용 MD&A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저널 / 21권 / 2호 / 275 ~ 302페이지
    · 저자명 : 전성빈, 이아영, 김성혜

    초록

    경영진단의견서(MD&A: Management Discussion and Analysis, 이하 MD&A) 제도는 투자자들이 회사의 사업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경영진이 회사의 영업실적, 재무상태, 유동성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고, 당해 요인의 향후 발생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공시함으로써 기업과 투자자간의 정보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사받은 재무제표와 함께 기업 공시의 핵심을 이루는 사업보고서상의 경영진단보고서(MD&A) 의 공시현황과 문제점을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우리 기업들의 투명성 제고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D&A의 의의, 국내외 관련 제도, 미국기업인 인텔과 한국기업인 삼성전자의 비교, 미국에 상장된 한국기업인 케이티(KT)의 미국 공시용과 국내 공시용 MD&A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은 MD&A 공시 제도를 시행한 지 상당 기간이 경과하였지만 우리나라는 2009년에야 의무 공시항목으로 지정된 관계로 전반적으로 봤을 때 아직 국내기업의 MD&A 공시 내용은 외국기업에 비해 양적, 질적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텔의 MD&A는 분석내용을 다양한 그래프와 도표 등을 활용하여 제시함으로써 정보이용자의 이해가능성을 제고한 반면 삼성전자의 MD&A는 상당부분 기존의 재무제표를 그대로 요약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한 인텔은 MD&A를 통해 미래 실적 관련 주요 수익 비용 항목의 구체적인 수치와 오차 범위를 제시하면서 상당한 수준의 미래 지향적인 정보를 제시하는 반면, 삼성전자의 MD&A에서는 제한적으로 제공하는 미래지향적인 정보는 거시적이고 일반적인 정보가 대부분이다. 셋째, 미국시장에 상장되어 미국의 SEC와 국내의 금융감독원에 MD&A를 공시해야하는 케이티의 사례는 흥미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전반적으로 케이티의 미국시장 공시용 MD&A가 국내용에 비해 공시의 양과 질에 있어서 충실성 측면에서 양호하다. 케이티의 경우 미국 공시용 MD&A를 번역만 하여 국내 투자자에게 제공할 수 있었지만 미국시장 투자자와 국내시장 투자자에게 상이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기업들의 MD&A 작성 능력이 부족하기 보다는 MD&A에 대한 시장의 수요와 감독기관의 관심이 낮은 데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Management Discussion and Analysis(MD&A) is an important part of a firm's overall disclosure package. Its primary objective is to enhance the investor understanding of an issuer's business by providing supplemental analysis and background material to allow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issuer’s operations, and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In the US, even though the MD&A must cover certain topics as key narrative disclosure required by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SEC) for annual and quarterly financial reporting, managers have flexibility in choosing the breadth and depth of what is discussed in the MD&A. The MD&A is intended as a way for managers to provide their perspectives of the firm to investors, such as why earnings have changed, what liquidity needs the firm faces, what capital resources have been or are planned to be used, and what material market risks the firm is exposed to. Such information would help investors assess the firm's past performance and current financial condition as well as predict future cash flows(Brown and Tucker, 2010). Since the SEC has been providing more concrete guidance of the MD&A disclosure and monitored the ex-post MD&A disclosure, the MD&A disclosure practice in the US is established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nlike the US, the Korean regulatory authorities have not explicitly demanded any descriptive disclosure regulation about the MD&A and the Korean public companies do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e MD&A disclosu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actice of the MD&A disclosure of Korean firms by comparing the MD&A of a US firm(Intel) with that of a Korean firm(Samsung Electronics) in the same industry. Additionally, we examine the MD&A practice of the KT(Korea Telecom). The KT, a major player in the telecommunication industry in Korea, is listed in both the Korean and the US stock markets and is thus required to disclose the MD&A in two markets for annual financial reporting. Such a disclosure environment provides us with a unique opportunity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disclosure practice between the domestic and the foreign markets for the same company.
    The main results of this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ken as a whole,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MD&A disclosure in Korea seem insufficient for an investor to assess the future performance of the firm, compared to MD&A disclosure in the US. Second, Intel's MD&A presents analytical results depicted by various tables and graphs to enhance the user’s understanding.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can be increased by making it more understandable and, hence, useful to a wider circle of users(SFAC No.2). However, MD&A of Samsung Electronics mostly presents only summaries of existing financial statements and fails to provide incremental and useful information other than financial statements information. Also the MD&A of Samsung Electronics does not provide enough forward-looking and firm-specific information compared to that of Intel. The SEC emphasizes that MD&A provides investors with an opportunity to see the company through the eyes of the management, and present past events and future trends in demand, events, commitments, plans and uncertainties that are likely to materially affect the company liquidity and future operations(SEC 1987,1989,2003). Finally, the case of KT listed in both Korea and US market suggests interesting implications. The MD&A in the US market includes more sufficient and informative disclosure than that in the Korean market. This means that domestic and US investors are provided with different sets of information for the same company. This evidence implies that Korean firms do not have sufficient incentives to disclose the useful information in MD&A probably due to the lack of both investors’ demand for broader set of information including forward-looking one and regulatory scrutiny about MD&A.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understanding and background to MD&A research in the future. Furthermore, this study sheds some light on understanding the reasons for relatively low accounting transparency compared to overall national competitiveness by showing that there remains a lot to improve for corporate voluntary disclosure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회계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