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질적 연구는 어떻게 사회과학적 가치를 확보하는가?: 신뢰성과 외적 타당성 논쟁의 결과와 함의 (How Does Qualitative Research Secure Social Scientific Value?: Debates on Its Credibility and External Validity and Their Implications)

6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5.05
61P 미리보기
질적 연구는 어떻게 사회과학적 가치를 확보하는가?: 신뢰성과 외적 타당성 논쟁의 결과와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9권 / 2호 / 1 ~ 61페이지
    · 저자명 : 이지원

    초록

    한국 사회학의 방법론 논의는 질적 연구가 사례의 총체적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사회과학적 가치를 가진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하지만 그 발견의 내적 타당성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에 관한 신뢰성 문제와 그 발견을 다른 사례의 타당한 설명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외적 타당성 문제는 심도 있게 논의되지 못했다. 본 논문은 이 쟁점을 분화시켜 논의한 근래 미국 질적 연구방법론 논쟁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국에서의 방법론 논의를 보강하고 진일보한 후속 토론을 촉진하고자 한다. 미국 사회학계에서는 질적 연구의 신뢰성이 재현이 아니라 양질의 질적 연구를 규정하는 기준의 정립과 활용을 통한 글의 설득력 향상 또는 원자료 공개를 통한 재분석 허용으로 획득될 수 있다고 논의되었다. 또한 외적 타당성은 기존 이론에서 예상된 경험적 발견의 통계적 일반화가능성을 추구하기보다는, 예상하지 못한 발견을 새롭게 이론화하여 다른 사례를 타당하게 해석할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확보될 수 있다고 주장되었다. 단, 절충적으로나마 질적 연구 결과의 일반화가능성을 증진하기 위한 여러 제안도 제시되었는데, 본 연구는 이들도 소개하되 이런 접근이 질적 연구의 강점인 이론화의 유연성을 제약할 수 있다는 평가를 덧붙였다. 이상의 논의에 기대어 본 논문은 질적 연구의 사회과학적 가치가 해당 연구가 사례의 총체적인 이해에 가지는 중요성만이 아니라 신뢰성과 외적 타당성에 근거해 주장되거나 평가될 수 있고, 이 경우 재현가능성과 일반화가능성보다는 질적 연구자가 선택한 독자 설득과 이론화 전략의 적절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Methodological discussions in Korean sociology have clarified that the scientific value of qualitative research stems from its distinctive contribution in achiev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studied cases. However, these discussions have not sufficiently addressed two key issues: credibility, referring to how the internal validity of findings can be confirmed, and external validity, referring to how findings can be applied to explain other cases. This paper reviews recent methodological debates in U.S. sociology, where these issues have been addressed more explicitly. By examining this literature, the article supplements and advances methodological conversations in Korea. American sociologists have argued that qualitative research can achieve credibility without replication, either by establishing explicit criteria for sound qualitative work and using them to craft convincing writing, or by making raw data publicly available to allow for independent reanalysis. The debates broadly agree that qualitative research enhances its external validity not by pursuing statistical generalization of theoretically expected findings, but by theorizing unexpected findings to generate new perspectives that support valid interpretations of other cases. While some scholars have proposed limited strategies to conduct empirical generalization, this paper argues that such approaches risk constraining the flexibility of theorizing, which is central to qualitative research. Drawing from these debates, the paper contends that the value of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claimed and assessed not only by its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specific cases but also by the credibility and external validity of its findings. This requires attention to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searcher’s approaches to persuasion and theorizing, rather than a focus on replicability or generaliz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