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의 국내외 사례 연구 -참여주체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Participatory Project of the Making Community Space : Focus on Project Participants and Planning and Design Proces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4.04
14P 미리보기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의 국내외 사례 연구 -참여주체와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수록지 정보 : 국토계획 / 49권 / 2호 / 131 ~ 144페이지
    · 저자명 : 허윤선, 임승빈

    초록

    최근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의견을 표현하는 주민참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주민들은 스스로 자신의 일상생활공간의 문제를 해결하고, 아름답고 살기 좋은 공간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조성을 위해 지역 구성원의 참여와 소통이 중요시되고 있다. 실제로 국내외에서는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행정과 전문가, 주민들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프로세스와 상호 소통관계가 정립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주민 간의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합의를 도출하며, 이러한 의견을 전문가와 행정이 이해하고 협력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참여의 효과와 가치가 극대화되고 지역 커뮤니티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는 커뮤니티의 특성을 존중해야 하고, 모든 시민에게 만족할만한 삶의 질을 제공해야 한다. 좋은 커뮤니티란 주민들의 삶을 다각적으로 향상시키고 사회적 안정을 도모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김규리 외, 2008). 특히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주민이 모이고, 다양한 주민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커뮤니티 의식의 회복(김현진 외, 2009)을 위한 주요 거점으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의 국내외 사례에 대해 참여주체와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의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참여주체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관계를 맺어야 하는 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통적 계획 프로세스에 따라 커뮤니티 공간을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개선하는 과정이 어떠한 가능성이 있는지 모색해 보고, 추후 여러 프로젝트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영어초록

    As the paradigm changes from the Rational planning process to the collaborative planning process, citizens are the main subject establishing the town and city. Community design is growing with th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to improve town environment. So new social and communication problems have been caused and there have been lots of discussion on regional communication. And also community space is one of main factors of more liveable and safer community. For communities to become alternatives with realistic meanings in this changed society, considerations on social and spatial conditions are needed. Therefore, community space which works as a device of physical environment for activation of communities needs more active changes which encourages social communication.This Study analysed comprehensive case studies of participatory project of the making community space. Above all, the network of the project participants must established; residents, professionals, government, NGOs, and sponsors. From the suggestion of the site and presentation of a problem to the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residents and experts were closely linked. Also,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suggested the project priorities and guidelines. Through interviews, discussions, surveys, a variety of design games and feedback, planning and design process of making community space was progre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토계획”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