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송상 상계 재항변 불허 판결로 살펴본 상계충당, 소송외 상계의 해석론 (Interpretive Theory on Offset Appropriation and Offset out of Court in View of the Decision Barring Reply to an Answer for Offset in Court)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6.06
42P 미리보기
소송상 상계 재항변 불허 판결로 살펴본 상계충당, 소송외 상계의 해석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36호 / 263 ~ 304페이지
    · 저자명 : 송영복

    초록

    대법원 2015. 3. 20. 선고 2012다107662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한다)에서는 ‘상계의 효력(자동채권의 소멸)’과 ‘원고의 별도 권리구제수단 보유(소의 추가적 변경과 별소 제기)’라는 실체법적 측면을 지적하면서 소송상 상계의 재항변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피고가 피고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채권을 수동채권으로 지정하여 소송상 상계항변을 할 경우, 여러 채권을 청구하는 원고로서는 원고 자신에게 유리한 상계 결과를 주장하기 위하여 ① 소송상 상계의 재항변 외에도 ② 상계충당을 주장하거나 ③ 소송 외에서 원고에게 유리한 내용으로 소멸될 채권을 지정하여 상계 의사 표시를 한 후 이를 소송에서 주장하는 방법이 있다.
    민법은 명문으로 상계충당 시 변제충당 조항을 준용하도록 규정하나 이는 상계와 변제의 차이를 간과한, 적절하지 않은 입법이다. 그러나 적어도 해석상으로는 명문 규정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 상계충당에서는 상계자에게 소멸할 채권에 관한 지정권이 있고, 다만 그 지정권은 비용 → 이자 → 원본의 순서를 뒤집지 못한다. 따라서 상계충당 주장은 소송상 상계의 재항변 결과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적어도 원본채권들 사이의 충당 순서를 뒤집지는 못한다).
    소송 외에서 원고에게 유리한 내용으로 소멸될 채권을 지정하여 상계 의사 표시를 한 후 이를 소송에서 주장하는 방법은 소송상 상계의 재항변 결과와는 정반대가 된다. 대상판결 설시의 논리를 일관하면 ‘상계에 관한 법원의 실질적 판단이 이루어지는 때’에야 소송상 상계항변의 효력이 발생하는데, 원고가 소송 외에서 한 상계 의사 표시는 피고의 소송상 상계항변보다 먼저 효력을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피고의 이익을 위한 소송상 상계항변의 예비적 성격이 오히려 피고에게 불이익하게 기능하는 것은 부당하고, 같은 취지의 재항변을 소송상으로 하는지 또는 소송 외에서 하고 이를 소송에서 주장하는지에 따라 결론이 달라지는 것 역시 받아들이기 어렵다. 따라서 소송상 상계항변의 실체법상 효력은 그 의사 표시가 원고에게 도달된 때에 바로 발생하고, 법원이 상계항변에 관하여 실질적인 판단을 하지 않는다면 소급적으로 소멸한다고 보아야 한다.
    대상판결의 결론(소송상 상계의 재항변이 허용되지 않음)은 이처럼 상계충당 주장의 결과와는 대체로 비슷하나, 소송외 상계 후 소송에서 주장하는 방법의 결과와는 다르다. 소송상 상계항변의 실체법적 효과 발생 시기를 ‘그 의사 표시가 원고에게 도달된 때’로 보는 해석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Supreme Court Decision 2012Da107662 Decided March 20, 2015 (hereinafter “the subject decision”) held that reply to an answer for offset in court was impermissible on the substantive (as opposed to procedural) grounds of the “effectiveness of offset (i.e., extinction of the defendantʼs bond)” and the “plaintiffʼs possession of alternative means of relief (i.e., making additional amendments to the claim and filing a separate claim).” In case the defendant puts up a defense of offset in court by designating the bond most favorable to himself/herself as vanishing bond, the plaintiff claiming for multiple bonds has the following three options: (a) to reply to an answer for offset in court; (b) to plead for offset appropriation; or (c) to give notice of his/her intent to offset out of court by designating the bond most favorable to himself/herself, and then to plead for the same in court.
    The Korean Civil Act explicitly requires the application mutatis mutandis of the provision on payment appropriation to offset appropriation. However, the said provision seems inappropriate for its oversight of the difference between offset and payment. Nevertheless, explicit provisions deserve deference at least in statutory construction. In the context of offset appropriation, the offsetting party has the right to designate the bond to be extinguished, insofar as he/she keeps to the descending order of priority from cost, to interest, and to principal. Thus, an offset appropriation plea does not differ much in its outcome from that of a reply to an answer for offset in court.
    The option of giving notice of the plaintiff’s intent to offset out of court by designating the bond most favorable to himself/herself, and then to plead for the same in court, leads to an opposite outcome from that of a reply to an answer for offset in court. This is because, under the reasoning of the subject decision, the plaintiff’s notice of intent to offset out of court takes effect before the defendant’s answer for offset in court, which takes effect only when the court makes a substantive decision on offset. However, it does not seem fair for the conjunctive nature of the answer for offset in court to work to the defendantʼs disadvantage. Nor is it acceptable that the outcome of a pleading to the same effect should differ depending on whether it was made in or out of court. Therefore, an answer for offset in court ought to take substantive legal effect immediately when the notice of that intent reaches the plaintiff, and its effect should retroactively expire unless the court makes a substantive decision on the offset pleadings.
    As such, the conclusion of the subject decision (denying a reply to an answer for offset in court) is mostly consistent with the outcome of offset appropriation pleading, yet not with that of offsetting out of court and then pleading it in cou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rue the point at which the answer for offset in court take substantive legal effect to mean “when the notice of that intent reaches the plaintif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