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특허소진에 관한 연구 -국내외 사례의 유형별 검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ent Exhaustion –Focus on the Review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ases–)

6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09.12
68P 미리보기
특허소진에 관한 연구 -국내외 사례의 유형별 검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보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정보법학 / 13권 / 3호 / 31 ~ 98페이지
    · 저자명 : 박태일

    초록

    특허소진은 다양한 사례에서 문제되고 있으나, 특허법상 명확한 근거 규정이 없으
    므로, 소진의 이론적 근거를 찾는 데서부터 검토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일본 및 미국의 사례로부터 특허소진이 문제된 쟁점을 유형화하면, 첫째, 국제적 소진과 관련하여 병행수입 허용 여부, 둘째, 특허소진을 인정하는 결과 특허제품의 수리 내지 부품 교환이 특허권의 직접침해를 이루지 않게 되는지 여부, 셋째, 특허제품 중 일부를 이루는 부품을 제조ㆍ판매하는 행위가 특허소진의 적용으로 인해 특허권의 간접침해를 구성하지 않는지 여부, 넷째, 물건의 발명 외에 방법발명의 특허에 대해서도 특허소진 이론을 적용할 것인지 여부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첫째, 특허제품의 병행수입 허용 여부에 관하여, 우리나라에서는 특허권
    의 국제적 소진론의 견지에서 병행수입이 특허권 침해로 되지 않는다는 하급심 판결이 있었고, 일본에서는 BBS 사건의 최고재판소 판결로써 묵시적 합의론에 근거하여 병행수입이 허용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특허제품의 수리 내지 부품 교환과 특허권의 직접침해에 관하여, 우리나라에
    서는 뚜렷한 사례가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이미 1850년경부터 연방대법원 판결로 수리와 재생산(repair and reconstruction)의 법리가 발전되기 시작하였고,Aro 사건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한, 일본에서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생산 어프로치와 소진 어프로치에 의한 두가지 방법론이 전개되었다.
    셋째, 특허제품 중 일부를 이루는 부품의 제조ㆍ판매와 특허권의 간접침해에 관하
    여, 우리 대법원은 레이저 프린터의 소모품에 관한 두건의 사례에서 각각 토너 카트리지 제조ㆍ판매와 감광드럼 카트리지 제조ㆍ판매행위가 레이저 프린터에 관한 특허권의 간접침해로 된다고 판결한 바 있다. 이에 비하여, 미국 연방대법원은 부품 교환이 특허권 직접침해를 구성하는지 여부 및 간접침해를 구성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모두 ‘수리와 재생산의 법리’에 의한 해결을 도모하고 있고, 특히 간접침해가 문제되는 사안에서는 직접침해의 성립을 전제요건으로 판단하고 있다.
    넷째, 방법발명의 특허에 특허소진 이론을 적용할 것인지에 관하여, 우리나라에서
    는 우리 특허법 규정 체계에 따라 방법발명을 물건을 생산하는 방법의 발명과 단순방법의 발명으로 나누어 후자에는 소진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취지로 판시한 서울고등법원 판결 등을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최근 미국의 QUANTA 사건에서 미국 연방대법원은 특허된 방법 역시 상품에 구현될 수 있는 이상 그러한 상품의 판매는 특허권을 소진시킨다고 판시하였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Doctrine of the Patent Exhaustion has been applied to various cases, there is no solid legalistic foundation for the Doctrine. So, it is necessary to start the study from finding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Doctrine. We can classify the issues about the Doctrine into four themes according to the cases of Korea, Japan, and the U.S.A. First, relating to the international exhaustion, it is not clear whether the Parallel Importation is allowed or
    not. Second, in view of the results of exhaustion, it is a question whether the repairing or exchanging a part constituting parts of invention becomes the direct infringement or not.
    Third, it is uncertain whether one who supplies infringing purchaser-user-repairer with component of a patented product is a contributory infringer or not. Fourth, there is a controversy on the subject, that is, whether method claims, as a category, are never exhaustible or not.
    First of all, the Korean lower court ruled that the Parallel Importation is allowed because the Patent exhausts internationally. In Japanese BBS case, based on the theory of the tacit understanding, the Supreme Court of Japan held that the Parallel Importation can be allowed.
    In the second place, about the question whether the repairing or exchanging a part constituting parts of invention becomes the direct infringement or not, there is no clear case in Korea. However, in the U.S.A. by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from the year of about 1850, the Doctrine of Repair and Reconstruction was developed. Aro Case is representative of the case about the Doctrine. In addition, in Japan through the courts’ decisions about various cases, two types of methodological approaches, namely Reconstruction Approach and Exhaustion Approach were produced.
    Moreover, in regard to the problem whether one who supplies infringing purchaseruser-repairer with component of a patented product is a contributory infringer or not,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producing or selling toner cartridge or OPC(Organic Photoconducting Cartridge) becomes the indirect infringement. By the way, the Supreme Court of the U.S.A. has solved both the problem whether the repairing or exchanging a part
    constituting parts of invention becomes the direct infringement or not and the question whether one who supplies infringing purchaser-user-repairer with component of a patented product is a contributory infringer or not by the Doctrine of Repair and Reconstruction.
    Especially, in cases about the indirect infringement the Supreme Court of the U.S.A. judges of the direct infringement as the premise.
    Last, on the subject whether method claims are never exhaustible or not, in Korea the Seoul High Court classified method claims into an invention of a process and an invention of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product on the basis of the Korean Paten Act system and held that as a category the latter is exhaustible but the former is never exhaustible.
    Meanwhile, in the recent QUANTA Case the Supreme Court of the U.S.A. ruled that Patent Exhaustion applies to method patents and method patent is exhausted by sale of item that embodies the meth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보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