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정외보호 학대피해아동의 가족재결합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f Reunification of Maltreated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0.12
32P 미리보기
가정외보호 학대피해아동의 가족재결합에 관한 실증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동복지학 / 69권 / 4호 / 147 ~ 178페이지
    · 저자명 : 윤수경

    초록

    본 연구는 학대로 인해 가정외보호에 배치된 아동의 가족재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시간에 따른 가족재결합 확률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에 기록된 행정데이터를활용하여 2015년에서 2017년까지 학대판정을 받은 아동 중 부모의 학대로가정외보호에 배치된 아동 7,89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사건사 분석방법인 Cox 비례해저드 모형과 모수적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기초생활수급, 한부모 가족구조, 빈번한 가정외보호 제공주체의 변경, 상담원 1인당 사례수의 증가는 가족재결합의 가능성을 낮추는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사례관리 기간의 증가, 사례종결 후 행위자 부모에 대한 사례관리는 가족재결합의 가능성을 높이는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시간에 따른 가족재결합 확률의 변화추이살펴본 결과 가족재결합의 가능성은 가정외보호 이후 약 8개월까지 매우높고 이러한 가능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외보호 이후 약 20개월이 되는 시점에서는 가족재결합이 더 이상 발생하지않으며 최종적으로 가정외보호아동의 약 34%가 가족과 재결합하는 것으로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반해 학대로 인해 가정외보호에 배치된아동의 가족재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reunification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due to maltreatment, and to examine the proba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change over time.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administrative data from the National Child Maltreatment Information System collected by the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 The sample included 7,895 children who were protected outside the home due to parental maltreatment from 2015 to 2017. An event histo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parametric models. The result showed that the eligibility for national basic livelihood, single-parent families, an increased number of changing out-of-home placements, and an i ncreased n umber of c ases p er w orker w ere r isk f actors t hat m ay l ower t he possi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On the other hand, a long period of case management and the case management for parents after its termination were found to be protective factors that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unification. When the possi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over time was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ossibility of family reunification was high until about eight months after children were protected in out-of-home placement, and this possibility decreased over time. Family reunification does not occur after twenty months, and 34 percent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reunified with their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family reunification of children in out-of-home placement due to maltreat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