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외 질식재해 현황 비교를 통한 국내 정책방향 제언 (Suggestions for domestic policy directions through comparison of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suffocation accident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2.03
11P 미리보기
국내외 질식재해 현황 비교를 통한 국내 정책방향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안전문화연구 / 15호 / 63 ~ 73페이지
    · 저자명 : 임대성, 이승길

    초록

    현행 안전보건규칙 상 밀폐공간작업에서 발생한 질식재해 현황 및 사고 분석을 통하여 올바른 질식재해 예방 정책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일본 및 국내의 밀폐공간 질식 재해 현황을 비교함으로써 각 국의 질식재해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고찰함으로서 국내 질식재해 예방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함이다.
    국내 ․ 외 질식재해 현황 및 사고 분석을 위해 미국, 일본 및 국내의 산소결핍, 황화수소 중독과 같은 전통적인 질식 재해뿐만 아니라 밀폐공간에서 어떤 유해 요인이 있는지 확인하였고, 유해 요인별 또는 작업별로 어떠한 조치사항을 운영하고 있는지 조사 하였다. 또한 주요 질식 재해 사례를 검토하여 사고가 재발하고 있는 원인과 사고 예방을 위해 실질적으로 취해져야 하는 정책적 보완 방법에 대한 제언을 검토하였다.
    미국의 재해통계 분류기준은 질식재해를 별도로 분류하지 않고 밀폐공간의 재해 형태 중 하나의 원인으로 보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밀폐공간과 관련된 중대 산업재해가 발생했던 직업군을 보면, 건설노동자가 173명으로 가장 많았고 농업관리자(79명) > 건설업 및 채굴 작업자의 일선관리자(63명) > 배관공 등(46명) 등의 순서로 사망재해 발생 건수가 많았다. 일본의 경우 2019년의 산소결핍증에 의한 노동재해는 4건(전년 대비 2건 감소)이며, 피해자는 5명(전년 대비 2명 감소) 중 사망자는 5명(전년 대비 1명 감소)이었다. 지난 20년간(2000년 ~ 2019년)의 산업재해는 총 139건이었다. 고용노동부의 2010년 ~ 2019년 국내의 질식재해 사망자 현황을 보면, 2013년 31명을 정점으로 감소하다가 2017년 18건으로 잠시 오른 뒤 연간 15명 이내로 발생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크게 줄고 있지 않으며 일본의 경우 최근 몇 년간 상당히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도 과거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보이지만 최근 몇 년간 정체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 대형 질식 재해의 주요 원인을 보면, 결국 밀폐공간을 관리해야할 사업주나 관리자들의 밀폐공간의 개념과 위험성의 인지 부족으로 인한 영향으로 함축될 수 있다. 또한, 우리가 코로나 19(COVID 19)라는 감염병 위기를 범정부 차원에서 대응하듯이 안전보건 문제 특히 중대 재해로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밀폐공간 작업에 대해서는 전 부처가 해당 부처 소관의 밀폐공간을 스스로 찾고 관리 감독해야 한다는 의지를 갖고 홍보하고 예방 활동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Objectives: Under the current Safety and Health Rules, we tried to come up with a system improvement plan to strengthen clarity and execution through analysis of suffocation and accidents. First, we would first suggest a reasonable direction to improve suffocation in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Methods: Regulations and accident cases related to confined space work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were investigated in literature, an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of enclosed space currently stipulated and limitations of application to industrial sites. The root cause of suffocation accidents was considered by conducting a specific cause analysis only for suffocation accidents among accident cases caused by confined space work in Korea.
    Result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2011~2018), construction workers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related to confined spaces with 173, followed by agricultural managers (79)> frontline managers (63)> piping workers (46). In Japan, the legal standards for suffocation accidents are divided into oxygen deficiency and hydrogen sulfide poisoning. In Korea, hydrogen sulfide poisoning was 28.5%, oxygen deficiency 23.8%, and carbon monoxide poisoning 20.2%. The places where suffocation accidents occurred were in the order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septic tanks (41 cases) > storage containers (33 cases) > manholes (27 cases) > construction sites (26 cases) > piping interior (15 cases).
    Conclusions: This is because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definition of an confined space, and the criteria for writing accident statistics due to the confined space are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is not easy to objectively and clearly divide the distinction of suffocation accidents caused by confined spaces as a situational concept rather than a simple concept of a place. In particular, it may not be possible to statistically compare countries like Korea, which have been established as 18 concepts of places. In the case of Japan, the suffocation accident prevention regulations themselves are defined only in two categories: oxygen deficiency and hydrogen sulfide poisoning. Therefore, statistics on deaths from suffocation accidents also have results for these two causes. The main causes of large-scale suffocation accidents in Korea can eventually be implied by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concept and risk of confined spaces by employers or managers who have to manage confined spaces. Reorganiz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to prevent accidents is important,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whether you know the risk in the field of working in an confined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안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