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이도에서 비음과 유음 포먼트 전이 (Formant Transition of Nasal and Liquid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8.09
7P 미리보기
외이도에서 비음과 유음 포먼트 전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23권 / 3호 / 775 ~ 781페이지
    · 저자명 : 허승덕, 김도윤

    초록

    배경 및 목적: 말소리는 외이를 통과해야 듣고 이해할 수 있는데, 외이는 공기를 매질로 소리를 전달한다. 따라서 말소리는 외이의 구조나 매질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음향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는 외이의 외이 영향을 받은 비음과 유음의 포먼트 전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에는 청각기관 및 조음기관에 이상이 없는 건강한 남녀 16명이 참여하였다. 참여자 중 1명은 화자로, 나머지 15명은 청자로 역할을 나누었다. 음성은 비음 /ㄴ/과 유음 /ㄹ/을 모음 /ㅏ/에 연결한 단음절 낱말을 이용하였다. 녹음은 이개 상부인 sound field (SF)와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내부에 각각 장착한 고성능 콘덴서 마이크를 이용하였다. 녹음한 음성은 MATLAB으로 보정한 후 Praat으로 포먼트 전이를 분석하였다. 두 음성의 차이는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SF에서 포먼트 전이는 비음의 경우 모두 높아졌고, 유음도 F4가 낮아졌다가 다시 높아지는 것을 제외하고 대체로 높아졌다. EAC에서 포먼트 전이는 비음의 경우 F1, F2만 높아졌고 F3가 낮아졌으며 F4가 유지되는 양상이었다. 유음의 경우 F1과 F4이 높아졌으나 F4는 수평에 가깝게 완만하였고, F2가 낮아졌으며, F3는 변하지 않는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외이도 음성의 포먼트 전이는 비음 F3, F4, 유음 F2, F3, F4의 포먼트 간격을 넓게하여 말소리의 변별 자질 향상에 기여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While speech sounds can be heard and understood through the external ear (EE), the EE transmits the sound through the air as a medium. Consequently,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peech sounds differ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EE 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EE’s acoustic transmission affect the formant transition (FT) of nasals and liquids. Methods: Sixteen healthy men and women who had no problems in their auditory or articulation system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participant acted as the speaker, and the remaining 15 participants were listeners. In terms of the voice, monosyllabic words which combined the nasal /n/ and liquid /l/ with the vowel /a/ were used. When recording, a high-performance microphone was used, and mounted on the upper pinna and the external auditory canal respectively. The recorded voice was calibrated with MATLAB, and the FT was analyzed with Pra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oices were analyzed with a two-way ANOVA. Results: In the sound field, the FT was elevated for both nasals and liquids with the exception of F4 which showed an increase following a decrease. In the EAC, regarding the formant transfer, only F1 and F2 exhibited an elevation, while F3 decreased, and F4 was maintained in the case of nasals. In the case of liquids, it was observed that although F1 and F4 were elevated, F4 was nearly horizontal, F2 showed a decrease, and F3 was maintained. Conclusion: The formant transition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discriminative qualities of speech by broadening the formant spacing of nasal F3, F4, and liquid F2, F3, and F4.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