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은 왜 실패했는가?: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Why did Seoul’s Free Public Transportation Program for Reducing Fine Particulate Matter Fail?: A Political Management Perspectiv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9.02
27P 미리보기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은 왜 실패했는가?: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정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정부연구 / 22권 / 4호 / 99 ~ 125페이지
    · 저자명 : 김혜원, 이정욱

    초록

    최근 미세먼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서울시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의 일환으로 시민참여형 차량 2부제를 추진하는 한편,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서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루 50억 원에 이르는 비용에 비해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크지 않다는 비판 속에서 시행 두 달 만에 중단되었다. 그렇다면 미세먼지의 심각성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에도 불구하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은 왜 실패하였는가? 본 연구는 해당 사례를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분석틀로서 Moore(1995)의 정치적 관리 전략을 활용하였다. 수도권의 광역교통체계를 고려할 때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기도와 인천시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미세먼지 저감효과와 정책비용에 대한 정확한 정책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경기도 및 인천시와의 협상에서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에 대한 지지를 확보하는 데 실패하였다. 한편, 서울시는 적응적 정책문제로서 미세먼지 문제의 특성을 정확히 진단하고 서울시민 미세먼지 대토론회를 통해 사회적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적 숙의의 장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효과적인 공공 마케팅이 부재하여 더 많은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는 데에는 실패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 실패 사례를 통하여 정책 성공을 위해 요구되는 관리적 함의를 제공한다.

    영어초록

    In an effort to reduce air pollution caused by fine particulate matte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roduced an alternate-day-driving rule, which was to be enforced in times of air pollution emergencies and to be implemented on a voluntary basis. To help citizens comply with this voluntary emergency rule, the city government also instituted a free public transit program.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ree times in January 2018 when fine particulate matter reached an emergency level. The effectiveness of this free transit program was seriously questioned, however. The program turned out to have made no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reduc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even when more than 15 billion won was sp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fficially announced the termination of this program in February of the same year. What explains this failure?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took Moore(1995)’s political management perspective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primary reason wa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failure to ensure the cooperation from the two critical stakeholders--Gyeonggi-do and Incheon City--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free transit program; the Seoul Government was not successful in coming up with viable options to gain support from these two entities, both politically and financially. It was not successful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either; it failed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importance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free transit program; and its strategy was not effective enough to affect public opinion to urge the two nearby local entities to support the program for the benefit of the peopl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successful policy manag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정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