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의 교차하는 텍스트와 이야기의 새로운 기원(起源) : 소설 『아랑은 왜』와 영화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의 비교 (Texts conceiving the Genesis of Stories : Why Arang and Welcome! Mr. McDonald)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2.06
35P 미리보기
동아시아의 교차하는 텍스트와 이야기의 새로운 기원(起源) : 소설 『아랑은 왜』와 영화 &lt;웰컴 미스터 맥도날드&gt;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27호 / 241 ~ 275페이지
    · 저자명 : 김동식

    초록

    이 글은 장편소설 『아랑은 왜』와 영화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를 비교한 것이다. 『아랑은 왜』는 2001년 김영하가 발간한 장편소설로서, 한국의아랑 전설을 현대적 기법으로 고쳐쓴 작품이다.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는 미타니 고키[三谷幸喜] 감독이 1997년에 연출한 영화로서, 라디오 생방송 드라마를 제작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아랑은 왜』는 메타소설과 인터랙티브소설의 기법을 활용하면서 전근대적인 전설을 근대적인 추리소설과 포스트모던한 판타지소설로 변형시켜간다. 또한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는 「운명의 여」라는 상투적인 대본에서 출발하여 법정드라마, SF적요소, 재난영화, 페미니즘 드라마 등의 장르를 거치며 원래의 대본과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두 작품은 이야기를 고쳐쓰는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이야기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탄생하는가’라는 물음과 ‘이야기를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제기하고 있다. 두 작품이 이러한 물음을 제기한 이유는 1990년대 이래로 제기된 디지털 미디어환경 속에서 문학의 위상을 새롭게 인식하고 문학의 위기를 헤쳐나갈 방법을 모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에 발표된 한국의 장편소설과 일본의 영화를 비교함으로써 21세기 동아시아의 문화적 현재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compare the novel “Why Arang” with the movie “Welcome!Mr. McDonald”. The full-length novel “Why Arang” was published in 2001 and re-written by Kim Young-ha. His modification work can be said to the result from his penchant for Korean age-old legend “Arang” and his elaborate literature transformation using modern literary techniques. “Welcome! Mr. McDonald” is a Japanese movie premiered in 1997, directed by Mitani Koki, where he dealt with the process of making the live radio drama 'Dame Fortune'.
    “Why Arang” parlayed the meta-fiction and the interactive novel techniques into transformation. As for that result, the modern detective and post-modern fantasy novel broke from the pre-modern legend. Meanwhile, “Welcome! Mr. McDonald”which started from a stereotypical screenplay, came to an utterly different story from the original one, way through the various genres such as courtroom drama,disaster film, SciFi movie, and feminism soap-opera.
    Both raised the questions: (1) In which process would it be necessary to make the story anew?, (2) What could be done with the story? in the process of rewriting,or conversion. The major causes of posing questions are likely conjured up: Firstly,both the artists had been finding for the breakthrough which help them win on the crisis of the literature since 1990s. And secondly, they had been aware of the changed literary status in the digital media surroundings since then. As I have already mentioned, this article is to ascertain the 21st century's east-asian cultural nowness by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from a Korean novel and a Japanese film released abou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