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쿄 돌출: 지방 권력은 왜 중앙과 충돌하는가? (Tokyo’s Divergence : Why Local Leadership Challenges the Center)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5.06
30P 미리보기
도쿄 돌출: 지방 권력은 왜 중앙과 충돌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논총 / 61호 / 27 ~ 56페이지
    · 저자명 : 이주경

    초록

    지방분권개혁 이후 30여 년이 지난 현재, 일본에서는 중앙-지방 간 갈등이 구조화되고 있다. 정책 불일치나 자원 비대칭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어 왔으나, 본 연구는 이러한 전통적 갈등 요인이 최소화된 조건에서도 갈등이 발현되는 도쿄도 사례에 주목한다. 특히 고이케 유리코 지사의 도정 운영을 중심으로 지방 리더십이 중앙과의 갈등을 왜, 그리고 어떻게 촉진하였는지 검토한다. 분석 결과, 고이케는 권력 기반 강화를 일관된 목표로 설정하고, 정책⋅정치⋅상징 자원을 전략적으로 동원하며 중앙정부와의 갈등을 능동적으로 구성하고 조절했음이 확인된다. 1기 도정(2016–2020)에서는 자민당이 지배하던 도의회와 중앙정부를 연결고리로 삼아 대립 구도를 형성하고, ‘개혁지사’ 이미지를 강화함으로써 정치적 기반 확장을 도모했다. 반면 2기 도정(2020–2024)에서는 중앙정부와의 갈등, 경쟁, 암묵적 협조를 탄력적으로 조정하며 정책성과 부진과 약화한 지지기반을 만회하고자 했다. 이는 지방 자율성이 단체장 권력자원 동원전략과 연동되며, 단체장의 지향과 자원 활용 방식에 따라 중앙과의 갈등 양상이 역동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음을 실증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방 자율성 강화가 정책 효율성 제고로 이어진다는 규범적 기대와는 달리, 단체장의 정치적 퍼포먼스 강화와 중앙-지방 관계의 정치화라는 구조적 역설을 드러낸다. 따라서 도쿄 사례는 분권화가 진전된 지방정부가 궁극적으로 직면하게 될 구조적 딜레마를 보여주는 선험적 사례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분권화가 초래하는 중앙-지방 간 단절과 갈등의 정치적 비용을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지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gubernatorial leadership, under conditions of decentralization, can strategically intensify central–local conflicts. Focusing on the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under Governor Yuriko Koike, the analysis shows that such conflict was not merely the product of policy divergence or fiscal asymmetry, but a political tool actively constructed and utilized for strategic gain. In her first term (2016–2020), Koike positioned herself as a reformist governor by confronting the LDP-linked metropolitan assembly and central government, using this confrontation to consolidate her political base. In her second term (2020–2024), faced with weakening support and stagnant policy outcomes, she recalibrated her approach—balancing conflict, competition, and tacit cooperation with the central government to maintain her leadership. The Tokyo case demonstrates how local autonomy, when combined with selective resource mobilization, can be strategically leveraged to build political capital. It further reveals a structural dilemma inherent in decentralization: enhanced gubernatorial power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improved policy performance, but can instead politicize intergovernmental conflict depending on the leader’s objectives. These findings call for renewed attention to the political costs of conflict and disconnection under advanced decentr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