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왕자녀의 ‘혼례용품’과 그 상징성에 관한 일고찰: 1749년 『국혼정례(國婚定例)』 이전 ‘가례등록(嘉禮謄錄)’을 중심으로 (Marriage Procedure and the Symbolism of ‘Ritual Supplies’ for Royal Offspring in Late Joseon Kore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7.04
34P 미리보기
조선후기 왕자녀의 ‘혼례용품’과 그 상징성에 관한 일고찰: 1749년 『국혼정례(國婚定例)』 이전 ‘가례등록(嘉禮謄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65호 / 205 ~ 238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이 글에서는 왕실혼례가 1749년 『국혼정례』로 정례화 되기 이전 현전하는 왕자녀의 가례등록을 중심으로 왕실 혼례용품에 표현된 상징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왕자녀의 혼례를 치루는 과정에서 각각의 의례절차마다 등장하는 상징성을 강하게 띠는 ‘의례용품’ 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왕실 특유의 격식을 갖추어 특별한 방식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세밀하게 묘사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실제 치러졌던 왕자녀의 혼인을 우선 『국조오례의』 「왕자혼례」, 「왕녀하가의」의 내용과 비교하고, 왕실혼례의 ‘이상적 규정’이 실제 개별적인 ‘의례적 실천’ 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왕실혼례 연구에서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왕자녀의 혼례용품을 중심으로 혼례를 통해 기대하는 부부화합, 다산, 백년해로와 같은 인간 행복의 조건과 문화적 가치들이 조선후기 왕실사람들의 의례현장 속에서 상징성을 띠게 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왕실혼례에서 ‘사물’에 의미가 구상화되는 과정과 구현방식을 주목함으로써 왕실혼례에 나타난 사물과 의미의 관계성에 관한 논의를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is about the symbolic meanings of ‘wedding supplies’ for royal offspring in late Joseon Korea. There are some documents related to my study, which are called Garyedeungrok. Government finally articulated the list of wedding supplies in detail on the book, Gukhonjeongrye.
    The wedding ceremony for royal offspring proceeded through several stages. And each stage required some supplies for its own purpose. What I wanted to know is how the supplies were created and given from royal family to partner’s family who were of nobility.
    I took two actual royal wedding ceremonies for an example and compared to each other. Each example is shown in the book Gukjo-orye-ui. By comparing two examples, I investigated the way that the ‘ideal rules’ were gradually established through ‘practicing wedding ceremonies’.
    I focused on the royal wedding supplies that many other studies haven’t paid much attention to. What I wanted to peek by focusing them is the way that some conditions for human being’s happiness like ‘unity of married couple’, ‘fertility’ and ‘being man and wife till parted by death’ had symbolic meanings through actual ceremoni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in reification which means that ‘things’ soaked up ‘meanings’, I tried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royal wedding ceremonies before 18thcentury and interpret what were the mean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