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濟 溫祚王 14년의 遷都와 그 의미 - 王都 건설의 측면에서 (The Meaning and Backdrop of the Transfer in the 14th year of King-Onjo(溫祚王) - In the aspect of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capital(王都))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0.08
34P 미리보기
百濟 溫祚王 14년의 遷都와 그 의미 - 王都 건설의 측면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5호 / 63 ~ 96페이지
    · 저자명 : 김정아

    초록

    都邑(王京)은 왕이 살고 있는 王城과 왕성 주변에 형성된 정치·신분적 중심구역인 王都를 포함한 광역의 지역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溫祚王 14년의 遷都에 대한 연구는 도읍 전체의 이동이라는 측면에서 遷都地에 대한 위치비정 문제에 천착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물론 천도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문제로, 천도의 배경과 의미를 고찰하는데 근간이 되었다. 그러나 이 천도는 일반적인 천도와는 달리 근거리에서 이루어져 도읍 자체가 이동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다만 도읍의 중추를 이루는 지역이 왕성과 왕도이므로, 천도가 이들 중심지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했을 것임은 분명하다. 특히 근거리 천도는 원거리 천도에 비해 新·舊 중심지간의 연속성이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현재 풍납토성 내부의 동남편에 위치하는 현대아파트 부지에서는 3중의 환호가 확인되었다. 이것은 풍납토성에 선행하는 것으로, 토성 축조 이전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온조왕 14년의 천도는 이곳 3중 환호에 중심을 두고 있던 백제가 주변에 풍납토성을 축조하고 왕성을 확대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당시 온조왕은 먼저 천도지를 결정하고 사전 정지 조치를 취했으며, 외교적 마찰을 피하기 위해 마한에 미리 천도 사실을 알리는 등 계획적이고 구체적으로 천도를 진행시켜 나갔다.
    『三國史記』에 의하면, 천도 목적은 말갈과 낙랑 등의 외침으로부터 왕성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높고 견고한 성벽을 쌓았으며 주변에는 垓子를 설치하는 등 방어력의 극대화에 힘을 기울였다. 이러한 천도는 백제의 정치적 성장과 왕권 강화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3중 환호로는 강화된 왕의 위상을 표현하기 어려웠으므로, 왕의 권위에 어울리는 왕성의 건설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를 위해 천도는 철저한 계획과 통제 하에 진행되었다. 왕성의 축조는 물론이고, 왕성 내부와 주변의 왕도에도 공간구획과 같은 계획적 조영이 시작되었다. 이렇게 온조왕 14년의 천도는 이를 계기로 왕성의 규모가 확대되었고, 동시에 왕성과 왕도에 대한 계획적인 건설과 경영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A capital refers to as a broad area including king's castle(王城) and the royal capital(王都) formed therearound for political purpose and class structure. So far, studies on the transfer of capital in the 14th year of King-Onjo(溫祚王), have confined to the marking of location in terms of the transfer itself, which in some aspects, as the most basic issue, has served as a basis for identifying the meaning and backdrop of the transfer. However, this transfer cannot be regarded as an entire transfer of capital in that it was a short-distance transfer. Meanwhile, it is obvious that the transfer gave rise to a dramatic change in the central area, as king's castle(王城) and the royal capital(王都) are the core of capital. In particular, the people of Baekje(百濟)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short-distance transfer of capital would maintain the continuity of ancient and new capitals intact.
    A triple moat was found southeast of Pungnabtoseong(風納土城), which was built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castle(王城). The moat seemed to be the downtown before the construction. Therefore, the transfer in the 14th year of King-Onjo(溫祚王) might be the construction of Pungnabtoseong(風納土城) and the expansion of the capital by Baekje(百濟) whose main base was the triple moat. King-Onjo(溫祚王) decided where to move in advance,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transfer. In order to prevent diplomatic frictions with Mahan(馬韓), he noticed it of the transfer, and came up with concrete and systemic measures to advance the issue.
    According to ??Samguk-sagi(三國史記)??, the purpose of the transfer was to protect the capital from the invasion by neighboring nations including Malgal(靺鞨) and Lolang(樂浪). Baekje(百濟) made sincere efforts to maximize its defence capability, and to this end it built a high and solid wall and digged a moat therearound. The transfer of capital was possible owing to Baekje(百濟)’s political development and reinforcement of the royal authority. As a triple moat was insufficient to boast strengthened royal authority, there is a need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king's castle(王城) commensurate with the royal authority. To that end, the transfer of capital occurred under a thorough plan and control. Not only the construction of king's castle(王城) but also a systematic alignment inside the castle(王城) and the royal capital(王都) therearound was taken place. The transfer in the 14th year of King-Onjo(溫祚王) expanded the scale of the king's castle(王城) and put spurs to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king's castle(王城) and the royal capital(王都).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