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王의 誕生과 관련한 異物交婚譚에서의 動物 象徵性 考察 (Study on the animal symbolism in Imulgyohon folktales related to King's birth)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08.02
28P 미리보기
王의 誕生과 관련한 異物交婚譚에서의 動物 象徵性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23호 / 67 ~ 94페이지
    · 저자명 : 김종대

    초록

    본 논문은 동물교혼담의 방식을 왜 왕족들이 채택했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단군신화부터 비롯하여 견훤에 이르기까지 이들이 왜 동물과의 교혼이라는 방식을 채택하여 자신들의 출생담에 삽입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는 점은 이물교혼 연구에서도 중요한 쟁점들이었다. 일반적인 논의는 신이한 출생을 통한 가계의 포장, 혹은 왕권의 장악에 필요한 정치적인 선동성 등까지 두루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출생의 본질은 단순한 왕권 쟁탈이나 이를 신이하게 포장하려는 장치로서의 기능보다는 더 구체적인 이유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살피고자 했던 것이 본 논문이다.
    이들의 출생담에 등장하는 동물 유형은 곰과 용, 그리고 호랑이로 등장한다. 또한 부계와 모계에 따라서 다른 의미를 지닌 상징성을 갖고 있다. 단군이 지닌 곰의 상징성은 수렵문화에서 농경문화로의 변이양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해되며, 이러한 모계의 동물 상징은 왕건의 조모인 서해용녀에까지 전승되고 있다.
    하지만 부계로서 등장하는 경우는 모두 용을 그 대상으로 삼고 있는데, 이것은 역사시대에 들어와 농경문화가 정착된 결과로 풀이할 수 있다. 물론 용이 불교문화의 유입과 같이 들어왔다는 점에서 불교의 영향을 완전히 부정하기 어렵다. 하지만 용이 들어오기 이전에서 水神을 담당했던 존재, 예컨대 이무기와 같은 계열의 존재가 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토착신앙의 전통을 계승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용을 왕이나 건국주의 부계로 삼았던 이유는 명확하다. 농경문화의 정착으로 인해 용의 존재가 보다 강력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을 자신의 부계로 삼아 탄생의 탁월한 신성력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이것은 당대의 통치력을 확장하는 방식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
    이 글은 동물을 중심으로 한 교혼담 이외에도 이물교혼담의 다양한 면모에 대해서는 다르지 않았다. 그것은 물론 다음의 과제로 삼고자 하려는 의도도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동물의 상징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려는 본인의 의도 때문이다. 특히 동물을 배경으로 한 문화적인 양태를 살펴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the case of ancient Kings Birth through Dongmulgyohon(Alien substance marriage), generally king's paternal line represents by either a dragon or a tiger. In Dangoon myth (hereinafter, the myth) HwanWoong as godly father and the bear as maternal line got married and had a baby.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men's existence here. In other words, the union between of god and animal reveals mythical symbolism. However since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men took place of god. Namely the era of men and animal's union had arrived. This meant that the central force of era had changed from divine nature to man centered.
    The change of family line from bear to dragon instead of bear shows that our cultural characteristic had been also changed. The bear and the tiger in the myth obviously had got meaning of hunting culture. Upon the cultural background, the advent of HwanWoong brought big change. It was mythical characteristic of the Bronze age, men were not allow to intervene in a connection between the gods of heaven and the earth. This can be applied to Jumong, Hyeokgeose and Suro who were born by eggs.
    However in Three Kingdom period only one side of parents either paternal or maternal line got married with sacred animals. This shows the end of myth age as well as begging of mankind age. King Mu and GyeonHwon had dragon paternal line whereas WangGeon had both a tiger and a dragon maternal line. Specially Dragon i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King’s sanctity could be granted by animal paternal or maternal line in the tale of birth. The intention aimed for the establishment of royal authority but the cultural and political background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nimal family line should be understood with theses cultural and political contexts at that time. Only in WangGeon’s case had been mythically damaged, because WangGeon’s family line had a limit to take from the myth. After all, it can be a result through deep consideration making a mythical device which they insisted that WangGeon had sacred animal maternal line.
    Imulgyohon folktales which related to King's birth in early history age gets wrtie-up in this paper. Despite the fact that many other Imulgyohon folktales have been transmitted, but in this paper, specially animal's cultural characteristic will be focused rather than general symbolism. Further study for other symbolism is now under consid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