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무엘상 8장 11-17절의 ‘왕의 권리’ - 왕의 정당한 권리를 이야기하는 글 - (The King’s Rights in 1 Samuel 8: 11-17 - An Article That Tells the King’s Legitimate Rights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12
28P 미리보기
사무엘상 8장 11-17절의 ‘왕의 권리’ - 왕의 정당한 권리를 이야기하는 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23권 / 4호 / 14 ~ 41페이지
    · 저자명 : 이긍재

    초록

    보통 ‘요담 우화’와 함께 ‘왕의 권리’를 이야기하는 본문 사무엘상 8장 11-17절은 대표적인 왕정을 비판하는 글로 여겨졌다. 왜냐하면 그 내용이 ‘착취’ 또는 ‘종’과 같은 부정적인 단어로 설명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위의 본문이 왕의 부정적인 통치원리에 말하는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이에 대한 대답을 얻기 위해서 연구자는 사무엘상 8장 11-17절의 ‘왕의 권리’의 삶의 자리(=Sitz im Leben)가 왕위즉위식 때 왕이 백성과 체결하는 계약(=‘왕의 계약’)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사무엘상 8장 11-17절의 본문 비평과 고대 근동 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는 종교사적 연구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왕의 계약’은 구약에서 다윗(삼하 5:3)과 요아스(왕하 11:4)의 왕위즉위식에서 단 두 번 언급되지만, 유다와 이스라엘 왕국 역사 속에서 ‘왕의 계약’이 매 왕위즉위식에 거행되었던 하나의 의전행사였다. ‘왕의 계약’이 왕위즉위식에서 하나의 의전행사였다는 사실은 히타이트와 아시리아 제국의 여러 예들을 통해서도 증명된다.
    ‘왕의 계약’은 흔히 세속에서 사용되는 ‘계약’처럼 쌍방 간의(왕과 백성 사이의) 의무와 권리를 포함하고 있다. ‘왕의 권리’는 사무엘상 8장 11-17절에서 일부 소개된 것처럼,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권리와 세금을 수취할 수 있는 권리이다. 이와 달리 왕의 의무는 국가와 백성을 적으로부터 수호해야할 의무, 종교적 행사와 절기를 지킬 의무, 백성을 풍요롭게 할 의무, 국가 기간시설을 발전시킬 의무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왕의 권리’를 왕위즉위식에서 왕과 백성이 맺은 계약과 연관시켜서 생각한다면, 사무엘상 8장 11-17절에서 언급된 ‘왕의 권리’에 대한 내용은 왕정을 비판하는 글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text of the ‘king’s rights’ in 1 Samuel 8: 11-17 along with the ‘Jotham fable’ has been usually considered a representative criticism of the monarchy. Because its content is mentioned by such negative words as “exploitation” or “servant.” However, this study attempts to raise a question as to whether the text really speaks to the king's negative ruling principle. To answer this question,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 Sitz im Leben of the king’s rights in 1 Samuel 8: 11-17 was the king’s covenant, which a king made with his people during the enthronement ceremony. For this study, I used a textual-critical method for Samuel 8: 11-17 as well as a religio-historical method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ancient Near East.
    Although the ‘king’s covenant’ is mentioned only twice at the coronation ceremony of David (2 Sam 5: 3) and of Joash (2 Kgs 11: 4) in the Old Testament, but the king's covenant was a ceremonial event which was celebrated at every coronation ceremony in the history of the kingdoms of Judah and Israel. The fact that the king’s covenant was a ceremonial event in the enthronement ceremony is also proven through several examples of the Hittite and Assyrian empires.
    The ‘king’s covenant’ includes mutual duties and rights between the two parties (a king and his people), just like a ‘covenant’ in the secular world. One of the ‘king’s rights’ is to us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to receive taxes, as partially introduced in 1 Samuel 8: 11-17. The king's duty, on the other hand, is to defend his nation and people from the enemy, to observe the religious ceremonies and feasts, to enrich the people, and to develop national infrastructure. Thus, if we think of the ‘king’s rights’ in connection with the covenant between a king and his people at the enthronement ceremony, it can be seen that the text of the ‘king’s rights’ in 1 Samuel 8: 11-17 is not a criticism of the monarc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