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옹고집’설화의 정착과 주요 기제의 판소리적 수용 (Pansori Accumulation and Extension of ‘Ongojip’ Tal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6.02
31P 미리보기
‘옹고집’설화의 정착과 주요 기제의 판소리적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34호 / 327 ~ 357페이지
    · 저자명 : 이완형

    초록

    ‘옹고집’설화의 정착과 판소리적 수용에 대한 발제는 그 근원설화의 모색을 기점으로 한다. <옹고집타령>이 <장자못전설>류의 소박한 ‘인색’ 및 ‘학승’모티프, <구두쇠 이리이샤>, <일리사장로>, 쥐둔갑설화의 ‘변신’ 및 ‘진가 쟁투’모티프, 그리고 『서유기』의 <요괴양삼장둔갑설화(妖怪兩三藏遁甲說話)>와 <양행자쟁주설화(兩行者爭主說話)>의 ‘징치’ 및 ‘진가 판별’모티프가 정착, 확장되면서 판소리화 했을 것이라는 전제에서다. 다만 유유사건이나 <유연전>의 경우 ‘설화 → 판소리 → 판소리계 소설’의 전이과정과도 배치될 뿐만 아니라 이미 전으로 확장된 작품을 굳이 판소리화하려 했을까 하는 점에서 예외로 한다.
    그렇다면 이들 모티프의 판소리적 수용은 몇 가지 기제로서 가능해지는데 그 하나는 ‘변신 기제’에서 찾아진다. 다른 판소리와 달리 <옹고집타령>의 경우 옹고집에 대한 징치 방법으로 ‘변신 기제’가 유용하게 활용되어서다. 다른 하나는 ‘징치 기제’에서 확인되는데 이는 옹고집 징치에 대한 도승과 상좌들의 논의에서 드러난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진가 해법 기제’에서 보여진다. 진가 옹의 쟁투는 <옹고집타령>에서 가장 핵심적인 모티프일 뿐만 아니라 서사구조를 가능케 하는 사건이므로 그것의 활용은 적정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basic of writing a old novel is decided on the condition of historical situation, expressional will of a writer and the participated standard of a reader.
    It is the capacity of writers and acception from the readers by that non of going against the tide of historical conditions and positive leading of reader's participation.
    It was the reason why one of the tool is needed that it is setting up limited technique naturally for writing will and realization of three constituents.
    The discipline structure of Ongojipjeon is indwell one of the tool because it is justified by any special actions and it is the case of the purpose realization to release the scars of the impendence.
    Also, it is the purpose for the reading more specifically for understanding discipline structure of monks and masters by Freud's rationalization and the works of confirming inside mind.
    Thus, it was the result from reading the unconscious defence mechanism to solve the potential anxiety due to a positional hostility and acuteness, positional forfeiture and dishonor of monks and their masters.
    It is the reason why the role is possible that the rationalization of 'Justness of self-action' as an epoch-making defence mechanism made a tool or a technique of old novel's fantastic 'Hiding topic' or 'Hiding inside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