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의교집(布衣交集)>의 ‘초옥(楚玉) 서사’ 구성 과정 연구-초옥에 관한 풍문(風聞)들을 중심으로- (Composition Process of 'Cho-ok narration' in -With a Special Emphasis on Rumors about Cho-o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02
31P 미리보기
&lt;포의교집(布衣交集)&gt;의 ‘초옥(楚玉) 서사’ 구성 과정 연구-초옥에 관한 풍문(風聞)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36호 / 115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주영

    초록

    이 논문은 <포의교집>의 서사를 ‘초옥에 관한 서사’라고 규정하고, 그것이 구성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초옥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욕망을 표출하고 실현하고자 하는 인물이다. 그녀는 진정한 선비와 포의지교(布衣之交)를 맺고 자신의 시재(詩才)를 인정받기를 열망한다. 이 열망은 역사서와 유교 경전(經典), 시집, 전기(傳奇)소설 등 한문(漢文) 교양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궁녀로서의 이력과 허난설헌(許蘭雪軒) 같은 여성 시인에 대한 선망이 그녀의 내면에 영향을 끼치고 정체성을 형성했다.
    초옥과 이생의 사귐에는 주변인들의 전언(傳言)과 풍문(風聞)이 개입한다. 이를 통해 초옥의 시재(詩才), 초옥의 언행, 초옥을 둘러싼 사건의 전말이 드러난다. 외모와 재주가 빼어난 초옥은 사람들의 시선과 말 속에서 이미지가 규정되고 구성되며, 이를 통해 ‘초옥에 관한 이야기’가 만들어진다. 그런데 전언과 풍문에는 진실과 거짓이 섞여 있으며, 이생은 초옥에 대한 거짓말을 믿어버리기도 한다. 주변인들은 주인공들이 어떤 선택을 하도록 부추기기도 하고 이들의 관계에 직접 개입하여 사건을 일으키기도 한다. 장사선(張士先)은 이 중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초옥은 유부녀의 처지로 이생과는 거리낌없이 사귀었으면서도 젊고 부유한 중약의 구애는 거절하고 남편에게 항거해 자살까지 시도한다. 초옥에 대한 소문은 서울 시정(市井)에서 유명한 이야기가 된다.
    이생과 초옥은 고종(高宗)과 민비(閔妃)의 가례(嘉禮)를 준비하던 예조(禮曺)의 뜰에서 재회한다. 유부녀임에도 불구하고 여령(女伶)으로 뽑혀와 정절을 빼앗길 처지에 놓인 초옥을 이생이 구해준다. 초옥은 많은 사람들 앞에서 기생들과의 문답을 통해 이생과의 만남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힌다. 사람들은 초옥의 외모와 재주, 태도를 칭찬하고 감화(感化)된다. 그러나 이 직후 서양 오랑캐의 침입, 즉 병인양요(丙寅洋擾)의 혼란 속에 초옥의 소식이 끊기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1864년 6월부터 1866년 6월 사이의 서울이라는 독특한 시공간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이 시기는 500년을 이어온 조선이 내부의 체제 정비와 서구(西歐)의 침략에 의해 변화를 겪던 시기이다. ‘초옥 서사’는 이러한 변화와 맞물려 지난 시기 조선을 지탱해오던 가치관에 균열이 생긴 것을 드러내는데, 이 작품의 창작은 ‘초옥 이야기’의 또 다른 형식으로의 전언과 풍문에 해당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fines the narration of <Po-eui-gyo-jip(布衣交集)> as that about 'Cho-ok(楚玉)' and investigated the process to compose it.
    Cho-ok is the character who tries to actively expose and achieve her desire. She has been aspiring to have ‘Po-eui-ji-gyo(布衣之交)’ with a true classical scholar and hoped that her materials of poetry will be recognized. This aspiration has been formed by the Chinese classics such as histories, Confucian scriptures, collections of poems and romance novel(傳奇小說). Her envy for female poets such - for example, Heo Nan-seol-heon(許蘭雪軒) - as well as her history as a maid of honor influenced her inner world and formed her identity.
    The friendship between Cho-ok and Lee-Saeng(李生) is intervened by messages and rumors of surrounding people. Through this, her materials of poetry, the characters' words and behaviors and whole story about Cho-ok are disclosed. The images of Cho-ok, who is outstanding for appearance and talent, are defined and composed by the perspectives and words of people. However, both the message and rumor include the truth and falsehood, and Lee-Saeng sometimes believes falsehoods about Cho-ok. The surrounding people incites the characters to make a selection, directly intervenes their relationship, and cause incidents. Jang Sa-Seon(張士先) plays the biggest role among them. Even though Cho-ok dates Lee-Saeng as a married woman, she rejects the courtship of Jung-Yak(仲約) and attempts to commit a suicide, resisting against her husband. The rumor about Cho-ok becomes a famous story in the Seoul.
    Lee-Saeng and Cho-ok meet again at the garden of the Ministry of Rites(禮曺) preparing for the wedding ceremony of Emperor Gojong(高宗) and Queen Min(閔). In spite of her status as a married woman, Lee-Saeng, whose standing is raised, saves Cho-ok, who is about to lose her chastity after being selected as a 'Yeonyeong(女伶)'. In front of many people, Cho-ok makes her position clearly related to Lee-Saeng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with giseng(妓生)s. But in the invasion of the 'Western barbarians', namely the chaos of Byengin Yangyo(丙寅洋擾), only unproved rumors about Cho-ok circulate. This is related to the unique spatiotemporal background of Seoul between Jun. 1864 and Jun. 1866. This period is in the changes by the Western invasion as well as the interior system maintenance of Chosŏn Dynasty with the history of 500 years. The 'Cho-ok narration' in compliance with these changes reveals the crack of the values that supported Chosŏn Dynasty, and the creation of this work as a novel style of 'story about Cho-ok' corresponds to messages and rum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