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입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과 식물체 부위에 대한 사료가치와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the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According to Varieties and Plant Parts of Imported Silage Corn (Zea mays , L))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0.06
8P 미리보기
도입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과 식물체 부위에 대한 사료가치와 생산성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40권 / 2호 / 98 ~ 105페이지
    · 저자명 : 김종근, Li Yan Feng, Wei sheng nan, 정은찬, 김학진

    초록

    본 시험은 도입되는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과 식물체 부위에 따른 사료가치와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옥수수 품종은 미국 Pioneer Hybrid Co.에서 도입된8개 품종(P1184, P1151, P1194, P1543, P1345, P1429, P1443 및 P2105)으로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내에 있는 시험포에서 수행하였다. 수확한 옥수수는 전체 5개 부위(leaf, stem, cob, husk 및 grain)로 분리하여 건조한 후 각 부위별 비율을 산정하였고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옥수수의 출현율은 P1151 및 P2105품종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평균 7월 24일, 출사기는 7월 27일 이었으나 P2105 품종은 7월 28일 및 8월 1일로 늦었고 나머지 품종은 비숫하였다. 초장 및 착수고에 있어서는 P1345 품종이 가장 컸으며(289 및 123 cm), P1151 품종이 가장 작았다(267 및 101 cm). 질병 저항성은P1184, P1443 및 P1429에서 낮았고 P1197 및 P1345는 높았다.
    건물함량은 경엽의 경우 P1151 품종에서 19.6%로 가장 낮았으며 P1429 품종에서 2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이삭은 만생품종인 P2105 품종이 가장 높았고(55.5%) P1184(54.2%) 및P1345(54.3%) 품종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P2105, P1429 및 P1194 품종의 경엽 건물수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0.05), P2105, P1345 및 P1443 품종의 암이삭건물 수량이 높았다. 5개의 부위로 분리된 식물체(Leaf, Stem, Husk, Cob 및 Grain)의 각 부위별 비율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암이삭에 해당하는 grain과 cob 합의 비율이 50∼60%로 나타나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다. 포엽(husk)와 속대(cob)의 비율은대체적으로 비슷하였으며 잎과 줄기는 약 20% 내외의 비율을 보여주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잎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grain이었다. 줄기의 조단백질 함량은 가장 낮았으며 포엽(husk)은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ADF 함량은 곡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비슷하였지만 잎 부분이 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줄기와 잎을 제외한 다른 부위는 품종간에 유의적인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NDF 함량은 husk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부위는 품종간에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품종별로 부위에 따라 특별한 차이를 보였는데, 줄기는 P2015, 잎은 P1197, 속대는 P1151 포엽은 P1197 그리고알곡은 P1197에서 NDF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건물 소화율은줄기와 알곡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잎과 암이삭을 구성하는 포엽과 속대에서는 품종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시험에 P2105 품종의 건물수량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알곡의 비율은 P1543 및 P1345에서 우수하였다. 또한사료가치는 잎과 곡실 부분이 높았으며 잎과 줄기가 husk나 cob 보다는 사료가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 comparison of the productivity according to variety and forage quality by plant parts of imported silage corn (Zea mays, L) in Pyeongchang. The corns evaluated in this experiment were 8 varieties (P1184, P1151, P1194, P1543, P1345, P1429, P1443, and P2105) introduced from the United States, Pioneer Hybrid Co. The harvested corn was divided into 5 plant parts (leaf, stem, cob, husk, and grain), and the ratio of each part was calculated using dry weight and the feed value was analyzed. The emergence rate of corn was generally good except for the P1151 and P2105 varieties. The average tasseling date was July 24th and the silking date was July 27th, but the P2105 variety was late to July 28th and August 1st, and the remaining varieties were similar. P1345 was the highest (289 and 123 cm), and P1151 varieties were the lowest (267 and 101 cm) in the plant and ear height. Disease resistance was low in P1184, P1443 and P1429, and P1197 and P1345 were high. In the case of stover, the dry matter (DM) content was the lowest at 19.6% in the P1151 and the highest at 24.9% in the P1429. DM content of ear was the highest in the P2105 (55.5%), and P1184 (54.2%) and P1345 (54.3%)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p<0.05). The DM yield of stover of P2105, P1429 and P1194 varie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and ear yield of P2105, P1345 and P1443 was higher. The proportions of each part of plants (leaf, stem, cob, husk, and grain) divided by 5 was high, with 50-60% of the ear(grain+cob) ratio. The ratio of husk and cob was roughly similar, and the leaf and stem part showed a ratio of about 20%. The crude protein (CP) content was highest in leaf, followed by grain. The CP content of the stem was the lowest, and the husk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arieties (p>0.05). The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 was similar to the rest parts except grain, but the leaf part tended to be lower, and other parts except the stem and leaf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DF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in husk,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in other parts (p<0.05). In addition, there was a special difference by plant parts for each variety, P2015 on the stem, P1197 on the leaf, P1151 on the cob, P1197 on the husk, and P1197 on the grains with high NDF content.
    IVDM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ems and grains,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in cobs and husks. According to the results, DM yield of P2105 variety was the best in the experiment, and the ratio of grain was excellent in P1543 and P1345.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eed value was higher in the leaves and grains, and the leaf and stem had higher feed values than husk or co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