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장품 광고 속 젠더 표현의 기호학적 분석 - 국내외 젠더리스 화장품 브랜드 온라인 광고를 중심으로 - (A Semiotic Analysis of Gender Representation in Cosmetic Advertising - Focusing on Online Advertisemen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Genderless Cosmetic Brands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5.05
10P 미리보기
화장품 광고 속 젠더 표현의 기호학적 분석 - 국내외 젠더리스 화장품 브랜드 온라인 광고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30권 / 2호 / 159 ~ 168페이지
    · 저자명 : 박효진, 임경호

    초록

    연구배경 화장품 광고는 단순한 소비 촉진을 넘어, 젠더 규범과 미적 이상을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기호체계로 기능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젠더리스 화장품 브랜드의 광고에 나타난 시각 요소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대 사회의 젠더 인식과 미의 이데올로기 구조를 반영하는 문화적 담론으로서 광고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젠더리스 마케팅 트렌드 관련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국내외 6개 브랜드의 2017년부터 2020년까지의 광고 이미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박길순·박수진(2006)의 시각 기호 분석 틀을 바탕으로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기호학 이론을 적용하여, 1차 의미(기표–기의)와 2차 의미(신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젠더 표현의 시각적 구성과 의미 생성 과정을 이데올로기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광고는 전통적인 성별 역할이나 고정된 정체성에 구속되지 않으며, 시각적·언어적 기호를 통해 성별의 유연성과 포용성을 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기호적 구성은 ‘젠더리스’라는 새로운 신화를 형성하며, 동시대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정체성 담론을 반영하는 상징적 코드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젠더리스 광고는 유연하고 포괄적인 성별 이미지를 통해 젠더 표현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성 중립성과 다양성에 대한 사회 인식을 반영하는 시각적 담론으로 해석된다. 다만 광고에 적용되는 법적 제한으로 인해 언어 기호 분석에는 일부 제약이 있었으나, 이미지 중심의 기호학적 해석만으로도 젠더 표현의 이데올로기 구성과 브랜드 전략 간 관계를 조명할 수 있었다. 젠더리스 콘셉트는 차별화된 브랜드 정체성을 구축하는 전략 자산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광고 담론의 젠더 표현 양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Cosmetic advertisements function as semiotic systems that visually reproduce gender norms and aesthetic ideals, extending beyond their role in merely promoting consump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isual elements in advertisement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genderless cosmetic brands through a semiotic lens, thereby exploring how such advertisements operate as cultural discourses that reflect the ideological structures of gender and beauty in contemporary society.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dvertisements from six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smetic brands presented in previous research on genderless marketing trends, focusing on materials published between 2017 and 2020. Based on the visual semiotic framework developed by Park Gil-soon and Park Soo-jin (2006), Roland Barthes’ semiotic theory was applied to examine both the first-order meaning (signifier–signified) and second-order meaning (myth). Through this approach, the visual construction of gender representation and its process of meaning production were analyzed from an ideological perspective.
    Result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dvertisements did not conform to traditional gender roles or fixed identities, but instead expressed gender fluidity and inclusivity through visual and verbal signs. This semiotic construction was found to create a new myth of “genderlessness,” functioning as a symbolic code that reflects contemporary sociocultural values and Genderless advertisements expand the scope of gender expression by presenting fluid and inclusive representations of identity.
    Conclusion Genderless advertisements expand the scope of gender representation through fluid and inclusive imagery, forming a visual discourse that reflects societal perceptions of gender neutrality and diversity. Although legal restrictions on advertising limited the analysis of linguistic signs, a semiotic interpretation centered on visual elements alone was sufficient to illuminate the ideological construction of gender expression and its connection to brand strategy. The genderless concept serves as a strategic asset for building a distinct brand identity,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in-depth exploration of gender representations in future advertising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