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국립박물관 온라인 융합 전시 분석 현황 연구 -국립박물관 52개소의 온라인 전수조사 중심으로- (A Preliminary Research on the Integrated Analysis of Online Exhibitions of National Museums in Korea -Based on the online survey results of 52 national museum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2.06
14P 미리보기
한국의 국립박물관 온라인 융합 전시 분석 현황 연구 -국립박물관 52개소의 온라인 전수조사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40권 / 3호 / 373 ~ 386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은, 최고운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 박물관이 새롭게직면한 디지털 시대,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은 국립박물관들의 온라인 전시를 분석하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시작되었다. 특히 한국의 국립박물관은 문화재청, 문화체육관광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등 다양한 국가 단위 조직이 상부 운영 그룹으로 지자체 소속이나 대학, 개인 소속 박물관과 비교할 때 온라인 전시를 운영할수 있는 여력이 있으므로 이 연구를 통해 유관 기관의온라인 전시 방향성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로 나누어졌다. 국립박물관의 온라인 전시 현황을 살펴보고 두 번째 온라인 전시의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전시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2021년 기준으로 전국문화기반시설 자료에 기반한 국립박물관 52개소의 온라인 전시 전수조사를 이행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박물관 중63%에 해당하는 33개소가 온라인 전시를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온라인 전시 유형은 3가지로 나타났는데 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실제 전시와 같은 형태로 온라인상에 구현되는 VR 형태, 전시 홍보 및 설명을 촬영하여만든 동영상 형태, 전시 관련 자료를 홈페이지 화면상으로 나타내는 평면 형태였다. 셋째, 유형별 특징에서 VR 형태 전시는 오프라인상의 전시를 그대로 온라인상에옮긴 형태가 90%인 30개소에서 확인되었으며, 12종의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었다. 전시 정보와 관련하여서는 7 종의 아카이브 형태를 제공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동영상 형태의 온라인 전시는 54%에 해당되는 18개소에서선보이고 있었는데 그 성격이 다양하였으나 유물 소개영상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평면 형태 온라인 전시는 전체 33개소 중에서 2개소만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는 기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크게 차별화되지 않았으나 온라인 전시라고 소개되고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타 기관의 박물관 온라인전시 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가장 큰 의의가 있으며 심도 있는 이용객 조사를 바탕으로 더 발전적인 디지털 시대, 온라인 전시의 효용성이연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s to lay the research foundation for analyzing online exhibitions of Korean National Museums that are newly facing digital era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Korea's National Museums which are organised by various 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seem to have rather positions in terms of online exhibitions compared to other governing museu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First, it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exhibitions at the national museums of Korea.
    Second,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type of current online exhibitions. Third, the goal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ll online exhibition types. Therefore, as of 2021, this research conducted an online exhibition survey of 52 national museums based on their online exhibition forms appealed on the webpag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33 of the national museums, or 63% of all, operated online exhibitions.
    Second, there were three types of online exhibitions.
    VR types means a mirror world exhibition which implemented offline exhibition onto the virtual world. Video types are mainly filming of exhibitions and Planar types mean only webpage screen. Thir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VR type exhibitions were identified in 30 museums, where 90% of offline exhibitions were moved onto virtual world, and there are 12 convenience types within VR exhibitions. Regard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seven types of archives were provided.
    Next, Video types were presented at 18 museums, accounting for 54%, and most of videos are about introduction of the exhibition objects. Only two Planar types can be identified and they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from the already existing webpag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seems to possible to provide an analysis framework for further relevant online exhibition researches in other museums, such as university, private or local governing museu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