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테로토피아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연구 -서펜타인 파빌리온 작품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n-everydayness Space from a Heterotopian Perspective - Focus on the work of the Serpentine Pavilion Works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1.06
12P 미리보기
헤테로토피아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연구 -서펜타인 파빌리온 작품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4호 / 155 ~ 166페이지
    · 저자명 : 김연두, 이찬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의 여가 문화가 관심 받게 되면서 비일상 공간에 대한 수요와 관심 또한 늘어나고 있다. 과거 급격한 산업의 발달과 자본주의의 합리적 생산성에 가려져 있었던 비일상적 공간에 대한 심도 있는 철학적 접근은 장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키워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는 유토피아를 뜻하는‘헤테로토피아’의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 특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비일상적 공간과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그리고 해당 공간의 내외부적 구조와 양상들이 헤테로토피아 관점과 어떻게 접점을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간을 바라보는 심층적 관점을 제시하고 앞으로의 비일상 공간에 대한 연구에 적용 할 수 있는 자료로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연구에서는 먼저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푸코의 이론을 통해 현대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헤테로토피아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비일상에 대한 세가지 현상을 앙리 르페브르 이론의 사전적 반대개념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 현상은‘오브제적 제3의 공간’,‘프레임의 해체’,‘회귀를 위한 일탈’현상이다. 그리고 이 현상들과 앞서 설명한 헤테로토피아의 특성들을 결합시켜‘일탈과 변주를 통한 이질성’,‘규범탈피를 통한 이의제기성’,‘투영을 통한 환상성’이라는 헤테로토피아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에 대한 특성을 도출 하였으며, 이를 사례분석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리고 최근 서펜타인 파빌리온 작품의 열 가지 사례에 적용시켜 헤테로토피아 관점의 비일상 공간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서펜타인 파빌리온은 오래된 건축물들이 지배하는 런던의 공간에 이의를 제기하고 보정을 요구하는 반공간인 동시에 강연, 공연, 팝업 스토어, 쉼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적 장소를 넘어 공간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적 공간으로서 현대인들이 일탈하며 치유하는 공간의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헤테로토피아와 비일상의 특성이 동시에 발현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기에 사례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분석결과 서펜타인 파빌리온은 헤테로토피아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의 세 가지 특성들이 고르게 적용되어 이질적이고 이의제기적인 동시에 환상성을 가진 공간으로 나타나며 헤테로토피아라는 철학적 관점을 통한 공간의 해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헤테로토피아 관점으로 본 비일상적 공간의 경험과 다양한 시도들을 통해 공간에 대한 지각을 넓힐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설계 되어질 비일상 공간들에 이러한 특성을 적용시켜 일상으로부터의 일탈과 동시에 다시 일상으로 복귀하기 위한 치유를 체험하고, 새로운 접근을 통하여 공간적 경험과 감상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철학적 관점을 통한 비일상 공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하여 오늘날의 비일상 공간에 가치를 더함으로써 공간 디자인 분야에 발전을 가져오리라 기대하며 공간이 본질적으로 추구하는 철학적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leisure culture of modern people is gaining attention, demand and interest in non-everydayness spaces are also increasing. In-depth philosophical approaches to non-everydayness spaces, which have been overshadowed by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rational productivity of capitalism in the past, are key to helping people understand places in depth. In this study, we analyzed non-everydayness spatial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which means existing utopia, to learn about non-everydayness space, the elements that make it up, and how its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s and aspects form a point of contact with the heterotop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n in-depth view of space and present it as applicable material for future research on non-everydayness space. (Method) We first reinterpreted Foucault’s theoretical conceptual analysis of heterotopia in a modern sense. Three phenomena about non-everydayness life were derived from the dictionary-opposite meaning of Henri Lefevre’s theory.
    This phenomenon is an aberration of “ third space like objet,” “frame dismantling,” and “escape to return.” In combination with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heterotopia, the characteristics of non-everydayness space were derived from the heterotopic perspective of “heterogeneous properties through deviations and variations,” “raising objec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breakaway of norms,” and “fantasy through projection,” which were used as the basis for case analysi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heterotopia perspective to non-everydayness spaces by applying it to 10 recent examples of Serpentine’s work. The Serpentine Pavilion is an opposing space that challenges the existing space of London, which is full of old buildings. In addition, it is an experimental space that breaks the boundaries of functional places and simultaneously serves for lectures, performances, pop-up stores, and shelters,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topia and non-everydayness are expressed at the same time. (Results)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non-everydayness space from a heterotopia perspective were evenly applied, indicating a heterogeneous, objectionable, and fantastic space, enabl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space through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heterotopia. (Conclusions) In this study, heterotopia’s experience of non-everydayness space and various attempts will allow us to apply these characteristics to future non-everydayness spaces to experience healing during daily life. It is also meant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making us think about the philosophical value that space essentially pursues, expecting to bring development to the field of spatial design by adding value to today’s non-everydayness space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on-everydayness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