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확산기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의 돌봄 관련 토픽의 점유율 변화: 가족생활주기별 구분 (Care-related Topic Trends during COVID-19 on an Online Parenting Forum: Topic Modeling by Family Life Cycle)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3.03
19P 미리보기
코로나19 확산기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의 돌봄 관련 토픽의 점유율 변화: 가족생활주기별 구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정과삶의질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정과삶의질연구 / 41권 / 1호 / 29 ~ 47페이지
    · 저자명 : 도유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확산기인 2020년 한 해 동안 임산부에서 유⋅아동 부모에 이르기까지의 가족들의 일상과 돌봄의 변화를소셜 빅데이터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를 위해 해당 기간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 ‘M’ 카페에서 ‘코로나’를 언급한 게시물을 수집하고, 이를 가족생활주기별로 구분한 후 각 코퍼스에 LDA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그 후 각 코퍼스의 특징을 대표할 수 있는 토픽들을선정해 1년 동안의 점유율 추이를 시각화했다. 그 결과, 임신기부터 자녀 학령기까지 총 5개의 코퍼스에서 54개의 토픽이 도출되었고이를 ‘일상’, ‘임신, 출산, 육아’, ‘일과 돌봄’, ‘코로나19 관련’, ‘병원 이용’ 등 5개의 상위 범주로 구분하였다. 임신기, 분만 및 산후조리기에는 산후조리원과 산후도우미, 자녀 영아기에서는 육아용품 및 서비스와 새로운 가족의례에 대한 소비자 정보에 관한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그와 함께 이를 이용할 때의 감염에 대한 우려도 보였다. 한편 자녀 유아기와 자녀 학령기의 토픽에서는 코로나19로 보육기관과학교가 휴원⋅휴교하면서 어머니들의 복직이나 재취직도 어려워졌음이 나타났다. 특히 자녀 유아기와 자녀 학령기의 주요 토픽들이 시간에 따라 토픽 점유율이 크게 변동해 해당 가족생활주기가 코로나19와 관련한 상황과 정책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받은 집단임을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확산기에 임산부와 유⋅아동 가족의 경험을 포괄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기 유⋅아동의 발달격차를 줄일 수 있는 지원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families in different family life cycles, from families of pregnant mothers to families with school-aged children, during 2020.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net cafe M, one of the largest Korean online parenting forums. Posts from cafe M that mentioned ‘COVID’ were collected and sorted by the family life cycles they belonged to. Latent Dirichlet Analysis was conducted separately on each corpus. Frequency trends of the key topics from each corpus were visualized. Fifty-four topics emerged from five family life cycle groups and were categorized into five higher-order groups.
    Topics about postpartum care services emerged in the Pregnancy and the Delivery and Postpartum Care group, and topics about childcare products, services, and new family rituals in the Infant and Toddler Child group, along with worries about COVID-19 while using them. Topics from the Preschooler Child and School-aged Child group proved that mothers found it hard to go back to work with preschools and schools shutting down. The frequency of the key topics in the Preschooler Child and the School-aged Child group showed fluctuation across time, signaling that these groups were the most influenced by COVID-19-related chang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provide evidence for intervention in developmental delays experienced by pregnant and parenting families during COVID-1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정과삶의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