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재 오양선에 있어서 중국의 지방문화적 요소 (Chinese Local Cultural Elements in Jeongjae Oyangs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0.06
26P 미리보기
정재 오양선에 있어서 중국의 지방문화적 요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57권 / 111 ~ 136페이지
    · 저자명 : 임장혁, 염희재

    초록

    오양선에 대한 연구는 사료를 바탕으로 한 오양선의 변천 양상과, 연출구성,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이루어져 왔기에 안무에 있어 상징 또는 은유적 표현에 관한 논의는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
    오양선은 중국 월(越)문화를 배경으로 한 설화이고 이를 무용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에버하르트(W.
    Eberhart)에 의하면 월문화는 중국고대 도작농경을 하던 타이문화와 산간 화전농경을 하던 야오문화와복합하여 발전한 지방문화라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문화적 시각에서 오양설화의 모티프와문화요소를 중심으로 오양선의 의미를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오양선 설화는 다섯 마리의 양이 성스러운 세계로부터 곡물을 인간세계에 전하여 풍년과 안녕을이룰 수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설화는 주몽이 곡모신인 유화로부터 받은 곡물의 종자로 고구려를 건국하였다는 신화와도 유사하며, 곡물의 종자를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곡령신앙(corn spirit)을 배경으로 한다. 따라서 오양선은 곡령신앙을 배경으로 왕권의 강화 또는 갱신을 위해 극적으로 표현한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분석개념으로서 왕모는 오곡을 상징하고 있다. 오양설화의 양(羊)은 월문화권에 없는 가축이기에 염소(羊)로 추정된다.
    죽간은 중국 궁중이나 민간에서도 널리 의례적으로 사용되는 의물(儀物)이며 우리의 화간(禾竿)이나농신대의 형태와 기능이 유사하며 신의 강임을 나타낸다. 죽간이 선두에 입장하며 공연이 시작되는데, 농신이 강임하여 축복을 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정재의 족도는 중국의 우보(禹步)와 동일하다. 그라네(Marcel Granet)는 우보가 중국설화에서 다리가 하나인 도깨비의 보법을 표현 것이라 하였다. 도깨비는 산신 또는 산신의 사자라 할 수 있는데, 오양선만이 아니라 정재에서 족도는 연행자들이 다른 세계에서 인간계에 출현하여 축원하는 은유라 해석된다.

    영어초록

    Oyangseon (五羊仙, Daoist hermits of five sheep) is known as one of the fourteen dances of Dangakjeongjae (唐樂呈才, Chinese court dance). It has been performed since the Goryeo Dynasty (918-1392) as a royal dance transmitted from the Song Dynasty (960-1279) of China with a background of the Oyang (五羊, Five sheep) legend. The existing research on Oyangseon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of Oyangseon, production composition, and narrative analysis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though with little examination of symbolic or metaphorical expressions in choreography.
    Oyangseon is a dance performance based on a folk tale set in Chinese Weo (越) culture.
    According to W. Eberhart, Weol culture was developed in combination with the Thai culture and the Yao culture.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vide an interpretation of Oyangseon based on the motifs and cultural elements of Oyangseon’s tale from a Weol cultural perspective.
    Oyangseon's tale tells the story of five sheep delivering grain from the holy world to the human world for a good harvest and well-being. Oyangseon can be understood as a work strengthening or renewing royal authority by invoking the rela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farming.
    Jukgan (竹竿, a bamboo pole) is a ritual-offering-object widely used in Chinese palaces and even in the private sector which represents the presence of deity. Meanwhile, the choreography of Jeonjae is same as the Chinese Ubo (禹步). Marcel Granet said Ubo is an expression of the one-legged goblin's walking (movement) in Chinese myth. The goblin can be recognized as the mountain god or mountain god's messenger whose appearance is interpreted as a metaphor of blessing to human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