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사회과 온라인 수업의 가능성과 한계 (The Potentials and Limits of Online Classes in Primary Social Studie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2.01
18P 미리보기
초등 사회과 온라인 수업의 가능성과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2호 / 159 ~ 176페이지
    · 저자명 : 김혜진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현장 교사의 경험을 기반으로 초등 사회과 온라인 수업의 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녹음한 면담자료, 교사들이 제출한 수업자료, 연구자의 메모 등이었다. 심층 면담 자료는 모두 전사하였으며 개방 코딩 후 범주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다른 자료를 비교⋅분석하며 코딩하였고 연구조력자 2인과 토의 및 협의 과정을 거쳐 범주를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초등 사회과 온라인 수업의 가능성 및 한계와 관련해 총 14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사회과 온라인 수업의 가능성범주는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교과”, “다양한 모형의 수업 구안 가능”, “사회과 수업에서 공간적 한계 극복”, “학생 중심 탐구 수업의구현”, “블랜디드러닝을 통한 학습효과 극대화”, “평가결과 누적에 따른 공정성 확보”, “평가 운영의 편리함”이었다. 한계에 속하는범주는 “정책변화에 따른 지속가능성 여부”, “오프라인 수업에 최적화된 교사 역량”, “수업 환경 등 학습자 변인에 따른 문제”, “즉각적 피드백, 탄력적 수업 운영의 어려움”, “실제 상황과 온라인 상황 간의 차이”, “가치⋅태도 평가의 어려움”, “피평가자의 윤리성문제”였다.
    결론 사회과 온라인 수업은 교실이라는 공간적 한계를 넘어 학생 주도의 탐구 수업을 실행할 수 있고 평가에서 공정성과 편의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책변화로 온라인 수업의 지속성 여부가 불투명하며, 학습자의 변인에 따른 영향이크고 가치나 태도 평가가 어렵다는 한계도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온라인 수업의 설계 및 구성 방안 등과관련한 실행 연구 및 교사 교육의 필요성,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의 학생 관련 연구의 실행 및 지원 방안 모색, 통합적인 학습관리시스템⋅교수-학습플랫폼 마련, 지속성 있고 일관성 있는 정책 및 지원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experiences of field teachers to identify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social studies online classes and design the future education plan.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6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data was collected. The gathered data was analyzed by discussing and consulting with 2 re search facilitators.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findings, 14 categories were deduced about the potentials and limits of primary social studies online courses. The categories for the potentials of social studies online classes include “a curricu lum fitting to online classes”, “possibilities of designing various class models”, “overcoming spatial limitations in social studies class”, “actualization of student-centered inquiry learning”, “optimized learning effects through blended learning”, “securement of fairnes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evaluation result” and “convenience of evaluation operation”. The factors categorized as the limits are “the status of sustainability followed by policy changes”, “teacher capacity optimized for offline class”, “problems of learner variables like the class environment”, “difficulties in providing immediate feedback and flexible class operation”,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sit uation and online situation”, “difficulties in values and attitude assessment” and “the issue of ethicality for the ap praisee”.
    Conclusions As a result, online class overcomes the spatial limits of social studies class and can implement stu dent-centered inquiry class, and it was identified in the assessment that fairness and convenience can be se cured through it. However, many limits were revealed in which it is difficult to perform continued research be cause of the ever-changing policies, learner variables cause a significant influence, and it is hard to evaluate the values or the attitud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about the action re search related to the design and arrangement measures of social studies online class and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varied support plans for students in the online class and sustainable and consistent policies and suppo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