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감독의 영화 <옐레나(Елена)> 연구 – '경계'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A study of Andrei Zbyaginchev's film Elen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0.12
22P 미리보기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감독의 영화 &lt;옐레나(Елена)&gt; 연구 – &#039;경계&#039;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유럽사회문화 / 25호 / 175 ~ 196페이지
    · 저자명 : 홍상우

    초록

    2011년 7월에 공개된 안드레이 즈뱌긴체프(Андрей Звягинцев) 감독의 영화 <옐레나>(2011)는 그의 전작 <귀향(Возвращение)>(2003)과 <추방(Изгнание)>(2007)에 이어서 일종의 물리적 혹은 추상적 경계를 중심에 놓고 있는 작품이다. 성서와 신화의 모티프를 주로 사용했던 전작의 경우와는 조금 다르게 영화 <옐레나>는 수도인 모스크바 중심부와 그 주변과의 공간적 대립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한 여인이 사회경제적인 중심으로 이동하려는 시도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영화는 전직 간호사 출신인 옐레나라는 여인이 경제적으로 부유한 남편을 만나 표면적으로는 남부럽지 않은 생활을 하게 되면서 겪는 갈등을 그리고 있으며, 전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옐레나의 아들과 현남편인 블라지미르(Владимир)가 살고 있는 세계가 서로 전혀 다르기 때문에 옐레나는 어느 쪽에도 속하지 못하고 양쪽을 왕복하고 있다. 바로 이런 점에서 영화 <옐레나>에서는 무엇보다도 ‘경계’라는 모티프가 부각될 수 밖에 없다. 영화에서는 경제적으로 구분되는 생활 공간의 지리적 수준의 경계, 옐레나의 과거와 현재의 경계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하나의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
    필자는 영화 〈옐레나〉가 이러한 경계를 통하여 역동적인 스펙터클이나 의외의 극적인 효과를 배제하면서도 관객에게 정서적인 충격을 안겨주고 있으며, 삶의 본질을 예리하게 포착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 작품을 분석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논의 과정에서 영화의 완성도의 높여주는 여러 요소들도 함께 언급될 것이다.

    영어초록

    Andrei Zbyaginchev's film Elena(2011), released in July 2011, is a work that focuses on a kind of physical or abstract boundary. Unlike the previous work, which mainly used biblical and mythological motifs, the movie Elena is set in a spatial confrontation between the capital city of Moscow and its surroundings.
    The main narrative of the film unfolds around the protagonist, Elena, but its formal characteristics, such as an extreme long take that creates a cold atmosphere on the screen, inherits the tradition of Russian art-house films. Since the camera focuses on and emphasizes static objects rather than dynamic movements,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film is cold and gloomy, and that atmosphere is also inside of Elena herself.
    This film depicts the conflict between a woman named Elena, a former nurse, and her husband, who is financially wealthy, and living a seemingly unfavorable life. Because the worlds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Elena does not belong to either and is reciprocating both sides. In this respect, the motif of “border” inevitably emerges above all in the movie Elena. In the film, the boundaries of the geographical level of economically divided living spaces, and the boundaries of Elena's past and present are compounded to form a narrative.
    I will analyze this work, noting that the film Eelena exclusions dynamic spectacles or unexpected dramatic effects through these boundaries, but gives an emotional shock to the audience and sharply captures the essence of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럽사회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