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성제대 영문과 네트워크에 대하여 -식민지 시기 한국문학에 있어서 ‘영문학’과 이중언어 창작- (A Study on the Network of the English Department of Keijo University -"English Literature" and Bilingual Writing in Colonial Period Korea-)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08.12
18P 미리보기
경성제대 영문과 네트워크에 대하여 -식민지 시기 한국문학에 있어서 ‘영문학’과 이중언어 창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26호 / 319 ~ 336페이지
    · 저자명 : 사노 마사토

    초록

    1924년에는 경성제국대학 예과가 개설되고 2년후인 1926년에는 본과가 개교됐다. 그것을 전후해서 식민지 시기 한국의 지적, 문화적 상황에는 일정한 변화가 생긴 것 같이 보인다. 그것과 동시에 언어적인 이중언어 문제에도 새로운 현상들이 생긴 것을 경성제대 영문과의 경우를 짚어가며 검토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경성제대 영문과에 우수한 한국인 학생들이 모인 것을 영문과 초대 교수인 사토키요시의 회상에서 알 수 있다. 실재로 최재서, 이효석, 조용만 등 식민지 시기 한국문학을 지탱한 문학자들을 배출한 것으로 그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특히 최재서는 일본의 평론계에 데뷰했는데 그의 경우를 통해서 경성제대 영문과가 한국과 일본을 넘어서는 지적 네트워크가 생성되어가는 가운데 하나의 결절점으로서 또는 문화적 생산점으로서 등장한 것을 알 수 있다.
    최재서 등의 언어의식을 살펴보면 그들의 이중언어에 대한 의식을 알아볼 수 있다. 『전환기의 조선문학』의 서문을 보면, 최재서가 일본어와 일본문화에 대해서 “나는 일본을 호흡하여 일본 안에서 자랐다”와 같이 매우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을 회상하고 있다. 동세대인 장혁주에서도 비숫한 회상이 보인다. 그들 세대에 있어서 일본어는 “취미”나 “교양”의 문제이고 가치판단을 떠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로 그들을 이중언어세대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들 세대의 등장과 경성제대 의 개설은 거의 시기를 같이 하고 있고 그들의 세대적 경험에 보다 확고한 틀을 제공한 역할을 했었다. 경성제대 영문과의 교육도 그런 상황에 대응하듯이 문화적, 문학적 주체화의 의식을 가지고 있던 것을 사토키요시의 회상에서 읽을 수 있다. 경성제대 영문과의 학풍은 그들의 언어의식과 서로 매개된 것이었다고 하겠다.
    식민지 시기 한국인 학생에 있어서 영문학이 특별한 위상을 가진 것은 사토키요시의 회상에서도 볼 수 있는데, 그 당시 영문학이 가지고 있던 위치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으로 논을 매듭짓는다. 식민지 시기 한국인 학생에 대하여 영문학은 민족적 정체성을 모색하기 위한 지적 참조항으로서의 역할을 했던 것 처럼 보인다. 예를 들어 이중언어나 이중의 정체성 등 이론적으로는 쉽게 근접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영문학 안에 존재했었다. 특히 그런 테마들은 이 시기에 아일랜드 문예부흥이라는 모습으로 각광을 받고 있던 것이기도 하고, 사토키요시도 지속적으로 아일랜드 문학에 관심을 가진 것이 주목된다. 그것은 또하나의 영문학에 대한 지향으로서 당시 한국의 탈식민주의적인 주체화의 모색과 서로 공명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1924 a preparatory course of English at Keijo University was established and two years later a regular course opened up in 1926. Before and after that period, the change of the intellectual and cultural situation of colonial Korea began to take place to some extent. Simultaneously the problem of bilinguality seems to have arisen creating new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new phenomenon dealing with this case of circumstances in Keijo University’s English department.
    Sato Kiyoshi, the first chief professor of the English department testified in his reminiscence that many excellent Korean students entered into the English department of Keijo University. In fact the English department produced many writers and poets, like Che Je-soe, Lee Hyo-suk, Cho Yong-man, who sustained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Especially,the case of Che Je-soe, who made a debut as a literary critic in Japan, indicates that Keijo University played a key role in the cultural intercourse between Korea and Japan.
    By examining the linguistic consciousness of Che Je-soe and other people, we can exemplify their attitude to the problem of bilingual. At the preface of Korean Literature of the Transition Period, Che Je-soe recalled that he accepted Japanese language and Japanese culture spontaneously, saying "I breathed Japan, and grew up in Japan." Zhang Hyuk-ju, who was from the same generation of Che Je-soe, likewise looked back to his boyhood. For their generation the problem of Japanese language was felt as "interest" or "education", and these were considered to be separated from the problem of value judgment. In that context, they could be called "bilingual generation". The appearance of their generation was simultaneous with the establishment of Keijo University, and the latter played a role in the framework which gave firm shape to their experiences. As if it corresponded with the situation, the education at the English department of Keijo University seemed to have the directivity of cultural and literary subjectimization, which is evidentby the reminiscence of Sato Kiyoshi.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English department of Keijo University was mediated mutually with their linguistic consciousness.
    "English literature" had a special phase for Korean students during that period, which is mentioned as the reminiscence of Sato Kiyoshi, so this thesis closely examines the location of English literature at that period. For the Korean studen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English literature" seemed to play the role of the referential item, through which it embraced the notion of national identity. In "English literature", there were problems like bilingual language or bicultural identity, which were difficult to approach through a theoretical frame like Marxism. Especially during this period, these themes came into the limelight as a form of Irish Literary Renaissance, and it is worthy to remark that Sato Kiyoshi continually showed attention to Irish literature. That seems to be the directivity for alternative English literature, and that sympathizes the searching for the postcolonial subjectimization of colonial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