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도 해역 해황특성 및 독도 해양영토가치 인식증진을 통한 독도관람 만족도 개선 연구 (Physical Marine Environment near Dokdo and Satisfaction Improvement of Dokdo Tourism by enhancing the Awareness of Marine Territory)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9.10
21P 미리보기
독도 해역 해황특성 및 독도 해양영토가치 인식증진을 통한 독도관람 만족도 개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1권 / 3호 / 55 ~ 75페이지
    · 저자명 : 김윤배

    초록

    대한민국 최동단에 위치한 독도는 2005년 독도 관람이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전환된 이후 연간 약 20만명이 방문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해양영토탐방지이다. 그러나 빈번한 해양기상악화로 인한 접근성 문제, 제한된 관람시간, 관람안내시스템 미비로 독도 관람 만족도가 낮은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2005~2018년 동안의 연별, 월별 관람객 통계 및 여객선 운항 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독도 관람객의 변동 특성을 살펴보고, 독도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독도 해역 해황특성, 독도 접안관측시스템, 독도 관람시간과 해설안내시스템 등을 분석하였다. 독도 관람객수는 최근 5년간(2014~2018년) 이전에 비해 연 중 5월과 8월을 중심으로 연간 독도 관람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울릉도 관광객 대비 독도 관람객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독도행 여객선은 연평균 187일 운항하여 연중 51.2%의 운항율을 보였지만, 접안부두의 월파로 여객선 접안일은 연평균 154일이었으며, 이로 인해 관람객 중 20.2%가 독도에 접안하지 못하고 선회 관람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해양영토교육장으로서 가치를 가지는 독도 접안시설 준공기념비, 독도 바다사자 남획터 및 일본 불법 영토표주 설치터, 해녀바위 등 독도 부속도서의 유래, 독도주민숙소 등 주요 관람지의 유래, 역사, 해양영토적 가치를 재조명하였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해양영토탐방지로서 독도 관람 만족도 개선을 위해서는 독도 탐방 해설사의 배치, 현장중심형 독도관람 표준 가이드북 제작 및 웹사이트 개설, 독도 접안부두 파도 관측시스템의 안정적 유지, 울릉도-독도 항로상 해양기상정보 정확도 개선을 위한 해양기상부이 증설과 함께 독도 방파제의 재추진이 필요하다. 독도 방파제 추진에 따른 부처간 이견, 생태적 영향을 고려하여 독도생태계특별조사단을 시급히 구성하여 방파제 건설에 따른 생태계영향평가 및 저감 방안 등을 과학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단순 방파제 기능이 아닌 해양에너지발전, 해양과학조사 활용 등 다기능 목적의 방파제 검토가 필요하다. 더불어 독도 청소년 해양영토교육 활성화를 위해 울릉도·독도 여객선비에 대한 국가적 지원 및 청소년 맞춤형 해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을 일선에서 담당하는 교육자를 대상으로 한 독도해양영토 연수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Dokdo, located on Korea’s easternmost point, is a leading attraction to explore the country’s marine territory, which has attracted 200,000 tourists every year since the government eased its Dokdo travel restrictions from approval to declaration in 2005. However, satisfaction on Dokdo tourism is low because of accessibility problems caused by frequent bad weather conditions in the sea, limited visiting hours, and a lack of the tourist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of the tourists and analyzes the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near Dokdo, the Dokdo docking observation system, Dokdo visiting hours, and the audio tour system that influenced Dokdo tourism based on monthly and yearly statistics on the tourists and information on passenger ship operations from 2005 to 2018. Dokdo-bound passenger ships operate for 187 days per year on average, and the ships dock at Dokdo for 154 days per year on average.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shed light on the origin, history, and territorial value of major tourist attractions in Dokdo as a place to educate people about Korea’s marine territory. To increase satisfaction of Dokdo tourism as a leading attraction to explore Korea’s marine territory, it is necessary to enhance accuracy in marine weather forecasting in Dokdo, extend visiting hours, place docents, and improve the audio tour system in the short term, and build breakwaters for Dokdo docks in the long term. Furthermore, to promote the education on marine territory in Dokdo and encourage more adolescents to visit the island, there should be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on the passenger ship fees for Ullengdo and Dokd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