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敏榮 所藏 佛書의 書誌的 硏究 (A Bibliographic Study on the Buddhist Books Owned by Kim Min-Yo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08.12
42P 미리보기
金敏榮 所藏 佛書의 書誌的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41호 / 355 ~ 396페이지
    · 저자명 : 윤혜영, 강순애

    초록

    본 연구는 김민영이 소장하고 있는 불서자료의 수집경위와 장서구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소장 불서 734종 1,292책 중 유간기 자료 272종 388책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각 판본의 특징 및 계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김민영은 1960년대 후반부터 通文館을 통하여 불서를 수집하기 시작하였고, 현재까지 好古堂, 文友書林 등 고서점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 대표불서군별로 장서구성을 살펴보면, 經典類 126종 224책, 儀式儀禮集 49종 52책, 僧侶 文集 46종 51책, 韓國 撰述類 34종 44책, 蒙山德異本 17종 17책이다. 3) 대표불서군별 판본 특징은, 經典類 중에서는 태종 17년(1417) 文殊寺 飜刻本의 妙法蓮華經, 성종 1년(1470)본의 妙法蓮華經, 己和가 說誼한 중종 32년(1537)본의 飜刻本 金剛般若波羅密經, 단종 1년(1453) 花岩寺本의 地藏菩薩本願經, 명종 12년(1557)본과 명종 19년(1564)의 大方廣佛華嚴經疏, 세조 7년(1461) 乙亥字와 한글 활자가 혼용되어 간행된 楞嚴經이 귀중본에 속한다. 儀式儀禮集은 성종 19년(1488)본의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인조 21년(1643) 鳳停寺에서 간행된 雲水壇歌詞 등의 자료가 대표적 판본이다. 僧侶 文集 중에는 광해군 4년(1612) 초간본인 四溟堂大師集, 경종 4년(1724) 순천 송광사 후쇄본인 無用堂遺稿 등이 대표적 판본에 속한다. 韓國 撰述類 중에서는 세조 13년(1467)에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牧牛子修心訣(諺解), 중종 20년(1525) 大光寺本 誡初心學人文, 세종 32년(1450) 涵虛堂得通和尙顯正論이 귀중본에 해당된다. 蒙山德異本 중에서는 성종 3년(1472)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蒙山和尙法語略錄(諺解)」, 중종 34년(1539) 廣興寺본의 蒙山和尙六道普說과 초간본 德異本의 번각본으로 명종 13년(1558)에 간행한 六祖大師法寶壇經이 귀중본에 해당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details and constitutions of the Buddhist books collected by Kim Min-Young,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ies of each edition for 388 volumes of 272 titles with the records of publication out of 1,292 volumes of 734 titl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im Min Young had collected the Buddhist books through Tongmungwan since the late 1960s, and so far through Hogodang, Munwuseolim and so forth.
    Second, his collection of the Buddhist books consists of the scriptures(224 volumes of 126 titles), the Buddhist ceremonial books(52 volumes of 49 titles), the Buddhist monk anthologies(51 volumes of 46 titles), Korean Buddhist works(44 volumes of 34 titles), and Meng-shan Te-i'’s writings(17 volumes of 17 titles).
    Third, among the scriptures, valuable editions include Myopopyunhwakyung which is the reprinted edition of Munsusa-bon in the 17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1417), Geumkangbanyabaramilkyung (Ogahae)(Seolui) in the 32nd year of King Jungjong’s reign(1537) interpreted by Gihwa, Jijangbosalbonwonkyung in the 1st year of King Danjong’s reign(1453), Daebanggwangbulhwaeumkyung in the 12th year(1557) and 19th year(1564) of King Myeongjong, and Neungumkyung(Unhae) published with Ulhae-ja and Hangul movable types in the 7th year of King Saejo(1461). Valuable editions in the ceremonial books include Sanggyojeongbonjabidoryangchambeob in the 19th year of King Seongjong(1488) and Unsudangisa, Bongjeongsa-bon published in the 21st year of the King Injo(1643). Among the monk collections, Samyeongdangdaesajib first printed in the 4th year of King Gwanghae(1612) is the most valuable. Among Korean buddhist works, Mokwoojasoo-shimgyul(Unhae) in the 13th year of King Saejo(1467), Gyechosimhakinmoon published at Daegwangsa, Suncheon in the 20th year of King Jungjong(1525), Hamheodangdeuktong-hwasanghyeongjeongron printed at Chojugapinja in the 32nd year of King Saejong(1450) are the valuable editions. Among Mongsan Toki-bon, the edition of Mongsanhwasangbeobeoyakrok (Unhae) published at Gangyeongdogam in the 3rd year of King Seongjong(1472), the Gwangheungsa-bon of Mongsanhwasangyookdoboseol in the 34th year of King Jungjong (1539), and Yookjodaesabeobbodankyung reprinted in the 13th year of King Myeongjong(1558) from the first edition of Toki-bon are valuable e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