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동·감정체계 유형에 따른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 특성 및 실내공간 색채감정 (Prefrontal alpha EEG Asymmetry and Interior Color Affect Based on Types of Behavioral and Affective System)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8.09
12P 미리보기
행동·감정체계 유형에 따른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 특성 및 실내공간 색채감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건축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34권 / 9호 / 55 ~ 66페이지
    · 저자명 : 하지민, 박수빈

    초록

    본 연구는 뇌과학적 관점에서 사용자의 색채감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행동 및 감정체계에 따라 조사대상자들을 유형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색채감정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행동체계(BAS/BIS)와 감정체계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행동 및 감정체계 유형을 4개 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실내공간의 생리 색채감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긍정 정서자극 및 부정 정서자극 시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 값을 기저선으로 설정하고 각 색채공간에서의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 값을 비교하였다.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면, A군집은 BAS가 전반적으로 높은 유형으로 특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추동성이 높고, 동시에 불안과 분노 감정체계를 가진 유형으로 파악하였다. B군집은 BAS가 전반적으로 낮은 유형으로 BIS 특성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초조하거나 긴장되는 감정체계는 없지만 쾌활하거나 행복하다고 느끼는 감정체계도 낮은 유형으로 파악하였다. C군집은 BIS가 가장 낮은 유형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하다고 느끼고 활발하고 행복하며 매우 낮은 우울 감정체계를 가진 유형으로 파악하였다. D군집은 BIS가 가장 높고, 동시에 BAS 특성 중 추동성이 낮은 유형으로 피로를 느끼고 지치는 무기력한 감정체계와 외롭고 우울한 감정체계를 가진 유형으로 파악하였다. 실내공간의 생리 색채감정을 분석한 결과, A군집은 긍정 정서, 부정 정서 기저선과 각 색채공간의 전전두엽 비대칭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B군집은 긍정 정서 기저선과 각 색채공간의 전전두엽 비대칭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부정 정서 기저선과 pale R, dull G 색채공간의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C군집은 긍정 정서 기저선과 각 색채공간의 전전두엽 비대칭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부정 정서 기저선과 vivid Y, B, pale R, dull R, G, P 색채공간의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D군집은 긍정 정서 기저선과 각 색채공간의 전전두엽 비대칭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부정 정서 기저선과 vivid Y, P, pale R, Y, P, dull R, Y, G, B, P 색채공간의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색채감정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행동 및 감정체계 측면에서 BAS 추동성이 높은 집단은 각 정서자극 조건에서 색채자극에 대한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BIS 회피 성향이 높은 집단은 부정 정서자극 조건에서 색채자극에 대한 영향이 크게 나타났고, 모든 톤의 Y와 P 색채공간 및 dull톤에 대하여 좌측 전전두엽 알파파 비대칭 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BIS 수준이 높고 우울한 사람들이 부정 정서를 경험했을 때 Y와 P 계열의 색채 및 dull톤이 부적 감정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긍정 정서자극 조건보다 부정 정서자극 조건일 때, 색채감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불안, 우울과 같은 부정적 감정상태일 때 실내공간의 색채가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결과는 색이 가진 고유한 파장이 실제로 인간의 심리․생리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감정을 유발한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우울증 환자나 부정적 정서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실내공간의 색채계획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color affective model of indoor space by evaluating subjects’ physiological responses according to the types of behavioral and affective system. 99 subjects(44 females, 55 males) in their 20s, who had no disorders in visual perception,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o categorize the subjects based on behavioral and affective system, BAS/BIS scale and Affective scale were used. Color stimuli were composed of five basic colors and three tones: vivid, pale and dull tone of R, Y, G, B, P. For physiological experiment, right and left prefrontal alpha activity was measured to analyze prefrontal EEG asymmetry.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fifteen color stimuli for 20 seconds each other under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condition in a research room with the natural light blocked.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long with factors of behavioral and affective system, cluster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four types were classified. Type A had high BAS sensitivity, especially high ‘drive’ trait, and showed high levels of ‘anxiety’ and ‘anger’. Type B had low BAS sensitivity, especially low ‘fun seeking’ and low ‘drive’ trait, and showed low levels of ‘anxiety’ as well as low levels of ‘happiness’. Type C had low BIS sensitivity and showed high levels of ‘happiness’ and low levels of ‘sadness’. Type D had high BIS sensitivity and showed high levels of ‘lethargy’ and ‘sadness’. As a result of EEG signal analysis of color stimuli, Type B, Type C, and Type 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rontal alpha asymmetry under the negative emotional stimuli. Type B showed more left prefrontal activation in the spaces with pale R and dull G. Type C showed more left prefrontal activation in the spaces with vivid Y and B, pale R, and dull R, G, P. Type D showed more left prefrontal activation in the spaces with vivid Y and P, pale R, Y, P, and dull R, Y, G, B, P. The group of high BAS sensitivity was not influenced by color stimuli under the emotional conditions, whereas the group of high BIS sensitivity was affected by color stimuli under the negative emotional conditions. They showed left prefrontal activation when they were exposed the spaces with vivid, pale, dull tones of Y and P w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건축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