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단일기관에서 소아 호산구성 수막염의 임상특징 분석 (Clinical Manifestation of Eosinophilic Meningitis in Korean Children: A Single Institution’s Experience)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1 최종저작일 2015.04
6P 미리보기
단일기관에서 소아 호산구성 수막염의 임상특징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소아감염학회
    · 수록지 정보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22권 / 1호 / 23 ~ 28페이지
    · 저자명 : 변정희, 최성열, 김동수, 김기환

    초록

    목적: 호산구성 수막염은 척수액에서 호산구가 ≥10/mm 3 또는 백혈구 중 10% 이상인 것으로 정의하며, 기생충에 의한 신경계 감염으로 주로 보고된다. 기생충에 의한 감염이 흔한 국가 외에서는 호산구성 수막염에 관한 소아에 대한 국내외 보고는 드물다. 이 연구는 국내 단일기관에서 소아 호산구성 수막염 임상특징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07년 1월에서 2012년 7월까지 5년간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을 방문한(입원, 외래) 18세 미만의환자들 총 6,335명을 스크리닝했고, 그 중 호산구성 수막염에 맞는 39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뇌척수액 검사상 호산구성 수막염으로 진단된 환자는 39명(0.6%)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세(생후 7일-18세)였고, 남녀의 비는 1.3:1이었다. 혈액검사에서 호산구 증가가 동반되는 경우가 18례(46 %) 있었다. 기저질환 및 과거력으로 신경계 질환 36례(92%) 있었다. 항경련제를 복용한 경우는 22례가 있었고, 이외 다른 약물의 복용이 1례 있었다. 뇌수술 이후에 발생한 경우가 35례(90%)였다. 증상은 주로 발열(50%), 두통(20%), 구토(15%), 경련(10%), 어지러움증(5%) 등이 있었다. 뇌척수액의 단백 수치는 평균 180 mg/dL (16-633 mg/dL)로 상승된 값을 보였다. 증상 지속시간은 평균 5일로 치료는 정맥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였다. 세균배양 된 예가 1례, 애완동물을 기른 예가 1례 있었고 이외에 기생충 관련된 정보는 없었다.
    결론: 국내 소아 호산구성 수막염은 기생충 감염보다는 중추신경계의 수술과 관련 있거나 약제 에 의한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호산구성 수막염의 원인을 잘 고려하여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를 줄일 수 있을것이며, 향후 다기관을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eosinophilic meningitis in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Methods: We examined 6,335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years old who had visited the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and had received cerebrospinal study results between January 2007 and July 2012.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identified as eosinophilic meningiti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Eosinophilic meningitis was diagnosed in 39 patients (0.6%). The mean age was 6 years (range 0-18 years) and the sex ratio was 1.3:1 (22 males and 17 females). The underlying diseases and past history were neurologic disease (n=36, 92%). Eosinophilic meningitis was diagnosed in thirty-f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postoperation neurosurgery (90%).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fever (50%), headache (20%), vomiting (15%), seizure (10%), and dizziness (5%). The average duration for recovery was five days, and intravenous antibiotics or steroids were used.
    Conclusions: Manifestations of eosinophilic meningitis are similar to other types of meningitis. The most common cause of eosinophilic meningitis in children was neurosurgery. Eosinophilic meningitis should be considered for patients showing fever and headache after neurosurgery.
    Through careful investigation, use of improper antibiotics could be avoi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