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열수지를 활용한 서울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공간유형화 (Spatial Typification based on Heat Balance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in Seoul)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8.12
18P 미리보기
열수지를 활용한 서울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공간유형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수록지 정보 : 국토계획 / 53권 / 7호 / 109 ~ 126페이지
    · 저자명 : 권유진, 안새결, 이동근, 윤은주, 성선용, 이기승

    초록

    모든 도시에 적용 가능한 도시기온 연구중 하나로, Stewart와 Oke가 고안해낸 Local Climate Zone (LCZ)을 꼽을 수 있다(I.D. Stewart et al., 2012). 이 방법은 지역적 환경과 기후 관련성에 대해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방법으로 지역기후 구역을 분류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피복, 구조, 구조물의 재료가 균일한 특징을 가질 경우에 한해서 200~500m 의 최소 반경을 갖는 영역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건축물의 유무와 크기, 밀집정도 및 녹지의 유무와 같은 광역적 범위의 유형을 통해 열섬현상을 온도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으나 근본적 원인이 되는 복사열의 발생 원인과 공간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실질적인 지적 범위에서의 계획 혹은 설계에 적용하기 난해한방법이다. 그러나 도시 열섬 현상에서 도시 지표면 온도와 대기온도는 열에 의한 결과이다. 도시토지피복 요소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도시 공간에분포하는 열을 구조적으로 분석한다면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공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내에서의 열평형(잠열, 현열, 저장열(인공열 포함))을 이루고 있는 열 요소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공간별 구성요소의 특성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도시 협곡 구조에서의 열섬 현상을 저감 혹은열섬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열섬 현상자체를 이해하고 도시 공간의 물리적 요소와 열섬 현상의 관계 및 영향에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토지 피복 요소들이 공간의 열수지 요소에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각각 도출하여 도시 계획설계에 있어 그 준거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의의가있다(Mascart et al., 1995; Grimmond and Oke 1991).
    공간 내에 존재하는 열에너지의 총량인 순복사열은 사람들이 느끼는 현열(Sensible Heat), 물체의 물리적 상태변화에 관여하는 잠열(Latent Heat), 온도를 가지고 있는 모든 사물에 담긴 저장열(Storage Heat)의 합에서 인공열을 제외한 열로서(Masson et al, 2002), 열의 평형을 이루고있다(열수지, Sallee, 2014).
    현열이 높으면 공간 사용자가 더위를 느끼고, 열수지에서 트레이드오프 관계인 잠열이 낮아지면현열이 더욱 높아진다. 그리고 저장열이 낮아지면지표면으로 들어가지 않고 대기 중에 잔류하는 열이 많게 된다. 본 연구에서 논의되는 ‘열환경 개선필요지역’은 대기 중에 현열을 높이는 조건을 가진 지역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전반적인 열 환경개선 혹은 열섬현상의 저감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이 되어야 할 지역을 찾아내는 기법을 마련하고, 그 지역의 토지피복의 변화에 대한 준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향후 이러한 연구가 다양한도시공간에 축적된다면 열섬저감을 위한 도시설계지침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types for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 considering heat flux and its spatial context through empirical orthodox formulas. First, k-means clustering was used to classify values of three kinds of heat flux - latent, sensible and storage heat. Next, from the k-means clustering, we defined a type of thermal environment (type LHL) where improvement is needed for more comfortable and pleasant thermal environment in the city, among the eight types. Lastl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ified thermal environmental types based on land cover types. From the study, we found that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s, roads, and buildings of the type LHL is higher than those of the type HLH (relatively thermal comfort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the following contents are proposed to urban planners and designers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Increase the green zone rate by 10% to reduce sensible heat; b) Reduce the percentage of impermeable surfaces and roads by 10% ; c) Latent heat increases when water and green spaces are expanded. This study will help to establish a minimum criterion for a land cover rate for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and a standard index for the thermal environmental improvement can be deri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