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귀환 식민자’ 연구로 본 한국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ituation and Tasks of Korean Studies in the Study of ‘Returned Colonize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9.08
34P 미리보기
'귀환 식민자’ 연구로 본 한국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공존의 인간학 / 2호 / 201 ~ 234페이지
    · 저자명 : 이규수

    초록

    본고에서는 기존의 ‘귀환 식민자’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지향해야 할 연구의 방향을 전망했다. 역사학의 본령인 ‘기억을 둘러싼 투쟁’만큼 현재적인 화두는 없다. 제국과 식민지의 구체적 현실을 몸소 체험한 당사자들은 역사의 뒤안길에 묻혔지만, 그들의 활동ㆍ기록ㆍ기억을 통해 형성되고 전승된 인식은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귀환 일본인들의 ‘기억과 회상’은 단순한 추억이 아니라 현실이었다. 나아가 이것은 일본인들의 식민지 조선의 기억만으로 끝나지 않고 동아시아 전체를 바라보는 눈이기도 했다. 따라서 조선을 비롯해 중국, 만주, 대만, 사할린, 남양 등지로부터 귀환한 뒤, 식민과 전쟁의 ‘피해자’가 되어 버린 그들의 기억을 ‘식민자’의 기억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은 매우 중대하다. 특히 ‘피식민자’였던 조선의 입장에서 제국 일본이 형상화한 지배 논리와 ‘이미지’를 해체하고 객관적으로 복원해야 하는 작업은 역사학계가 반드시 수행해야 할 과제이다.
    제국의 일반 서민이 식민지를 기억하는 회로는 다양하다. 식민지 기억은 ‘식민지 권역’과 ‘비식민지 권역’이라는 지배 강도에 따라, 또 본국 귀환과 현지 억류 등 패전 국면의 원체험 차이, 종전 직후 해당 지역의 정치 지형에 따라 다양하게 분기된다. 제국 일본에게 조선의 ‘위치’ 와 ‘임무’는 ‘제국의 생명선’이라 간주될 만큼 중대했다. 지리적 접근성으로 어느 지역보다도 식민지 조선을 용이하게 경험한 많은 일본 서민은 식민 지배자 특유의 의식과 정신 구조를 구축하고, 조선인과 격리된 채 자신들만의 생활공간에서 식민자의 특권을 향유했다. 물론 패전 직후에는 만주 귀환자들의 경우와 유사하게 ‘고난’과 ‘향수’의 기억도 표출했지만, 그보다는 조선에 대한 뿌리 깊은 ‘멸시’와 ‘차별’ 의식이 더 컸고, 이런 의식은 왜곡된 형태로 지속적으로 남아 있었다.
    민족 간의 상호 인식은 교류와 외교관계 등을 통해 형성되며 미래의 관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한일관계의 미래상에서 상호 인식은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런 의미에서 한일 간의 역사적 체험과 기억을 구성하는 상호 인식의 토대들을 살펴보는 작업은 현재의 양국 관계만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전망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방법의 하나이다.
    제국 일본 식민자의 체험과 기억 연구는 일본ㆍ일본인의 왜곡된 역사 인식만을 부각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동아시아 차원에서 새로운 평화와 공존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역사의 부정적 측면을 서술하는 일은 네오내셔널리스트들이 항변하듯이 결코 자민족을 ‘자학’하는 일이 아니다. 역사학 본연의 임무는 과거의 교훈 위에서 미래지향적인 가치체계를 확립하는 데 있다. 역사학은 과거의 ‘기억 들추기’를 통해 ‘과거에 머물기’가 아니라, ‘과거 되살리기’를 바탕으로 평화와 공생을 향한 ‘미래 살아내기’ 작업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tried to look at the current researching situation of the existing ‘returned colonizer’ and to predict the researching direction. There is no more current topic than the ‘fighting over memory.’ The people who experienced the concrete realities of the Empire and the colonies were buried in the background of history, but the perceptions formed and passed on through the memory of their activities are constantly being reproduced.
    The modern legacy of empire and colonial experience still works as an axis of conflict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Therefore the study of the experience and memory of the Japanese, who crossed the boundary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ies to expand the realm of the empire, has its present significance, because it can reveal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problems that East Asian society has.
    The ‘memory and recollection’ of the returned Japanese was not just a memory, but a reality. Furthermore, it was not just the memory of the Japanese on the colonized Korea, but also the eyes which looked at the whole East Asia. Therefore, the task of reconstructing the memories of people (who have become ‘victims’ of colonization and war after returning from Korea, China, Manchuria, Taiwan, Sakhalin and Namyang) is critical. In particular, for Korea which was ‘the colonized,’ the historians must do the work of dismantling and objectively restoring the logic and images of Japanese rule depicted by the imperial Japan.
    For Imperial Japan, Korea's ‘location’ and ‘task’ were critical enough to be regarded as ‘the lifeline of the empire.’ Having experienced colonial rule more easily than any other region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many ordinary Japanese enjoyed colonial privileges in their own living space, building a colonial ruler-specific consciousness and spiritual structure, and isolating themselves from Koreans. Of course, right after the defeat, they also expressed ‘hardship’ and ‘homesick’ memories, similar to those of the Manchurian returnees, but rather a deep-rooted ‘disrespect’ and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toward Korea, which remained constantly in a distorted form.
    Mutual recognition between nations is formed through exchanges and diplomatic relations and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future relations. In particular, mutual recognition has a real impact in the future of Korea-Japan relations. In this sense, the work of looking at the historical experiences and mutual memory between Korea and Japan is one of the main ways to gauge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not just the current bilateral relationship. Identifying mutual perceptions is a spectrum that looks a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Japan relations.
    The experience and memory study of the Imperial Japanese Returnees is not only aimed at highlighting the distorted historical perceptions of the Japanese, but also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new peace and coexistence at the East Asian level. Describing the negative aspects of history is by no means a ‘self-inflicted’ work as neo-nationalists protest. The original task of history is to establish a future-oriented value system on the basis of lessons from the past. This is because history is not a ‘staying in the past’ through the ‘memory-hunting’ of the past, but a ‘future-surviving’ work toward peace and co-prosperity based on ‘reviving the p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존의 인간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