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옛 문헌에 나타난 연날리기의 기원과 놀이방법 (Study on playing method and its origin of kite through old literatur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5.02
27P 미리보기
옛 문헌에 나타난 연날리기의 기원과 놀이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연구 / 35권 / 1호 / 397 ~ 423페이지
    · 저자명 : 문미옥, 문명희

    초록

    본 연구는 옛 문헌을 고찰하여 우리나라 전통연의 기원과 유래, 놀이자 연령층과 시기, 도구와 놀이방법을 밝힘으로서 유아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찰한 옛 문헌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의 문집, 예서(禮書)류, 유서(類書)류 48권이다. 또한 일제 강점기와 광복이후 남북한의 저서들도 참고하였으며, 삼국시대로부터 현대까지의 풍속화도 참고하였다. 또한, 문학작품에 진술된 연날리기에 대한 표현을 포함한 외국자료와 그림, 영화도 참고하였다. 문헌고찰 결과, 연은 세계 각 민족 사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놀이이며소망을 비는 기원의 목적과 오락 활동의 하나로 발생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연은세계적인 연이 가진 공통점 외에, 연 가운데에 방구멍을 둔 과학적 측면으로 인해 상하上下, 좌우左右, 급강하急降下, 급상승急上昇등, 보다 자유자재로 날릴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과학성이 뛰어난 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연날리기는 서로 연을 얼러 끊어먹기를하는 등, 놀이자 간의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놀이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연날리기는 물리과학적 지식, 미술표현, 한국민의 소망 등이 포함되어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으면서도 유아의 흥미가 높은 활동이므로 연에 대한 기초 연구결과에 기초한 보다 적극적 교육활동 전개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eaching a child to fly a kite by showing the origin, ages, tools and playing methods of playing Korean traditional kite through the examination on 48 old literatures. These old literatures includes not only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books for etiquette, and encyclopedia over the period from the Koryo Dynasty to Joseon Dynasty, but also several North and South Korean books published after independence. In addition, we examine the paintings from Goguryeo to present and refer to materials on flying a kite in foreign literatures, paintings and films. This study shows that kite flying is a play that have existed widely throughout the world as a form of entertainment. Korean kites and foreign kites share common features but Korean ones are the best in the world due to their ability to manuever sharply to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Kite flying in Korea is a game playing together, featuring that people compete to cut the strings of other kites' by crossing each other. This feature proves kite flying in Korea is a very creative and scientific game. It is important that kite flying can be used to cultivate cognitive, physical and emotional abilities of a child depending on the level of child's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