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古朝鮮의 언어구역과 燕의 동북지역 (The linguistic area of Old Joseon and the northeastern region of Yua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5.03
34P 미리보기
古朝鮮의 언어구역과 燕의 동북지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43호 / 5 ~ 38페이지
    · 저자명 : 박대재

    초록

    고대 한국어와 중국어는 언어계통상 알타이어족과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로 서로 구별되었지만, 언어구역상으로는 지리적으로 인접해 상호 영향을 미치는 동일한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었다. 고대 한국어와 중국어 사이의 접촉에 의한 언어 변화는 낙랑군 설치 이전 고조선 시기부터 진행되었는데, 양웅(揚雄)의 『방언(方言)』에 의하면 지리적으로 인접한 연(燕)의 동북지역과 조선(朝鮮)·열수(列水, 洌水)지역은 등어선(等語線, isogloss)으로 한 데 묶이는 동일한 언어구역이었다. 기원전 108년 한(漢)의 낙랑군 설치 이전에 고조선 지역에 연(燕)의 동북지역을 과도(過渡)한 상고중국어(上古中國語, 戰國系 方言)가 이미 유입되어 있었다. 부여(夫餘), 고구려(高句麗), 예(濊), 옥저(沃沮) 등 북방 예맥계(濊貊系) 사회의 언어적 공통성은 공통조어(共通祖語)인 고조선어(古朝鮮語)로부터 분화된 계통적 특징이면서 동시에 이들이 고조선의 언어구역에 포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위만조선 멸망 후 그 유민의 남하에 의해 고조선어는 삼한지역까지 전파되었는데, 고조선에 유입되어 있던 전국계(戰國系) 방언이나 고조선의 토착어가 진한(辰韓)의 언어에서 보이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Ancient Korean language as the Altaic language family could be distinguished from Chinese as Sino-Tibetian language. Yet, both of them were interacting each other in the same cultural boundary of Chinese characters because of their geographical closeness. Before establishment of Lelang Commandery(樂浪郡), the language change by contact between ancient Korean and Chinese had already started at the age of Old Joseon. According to Fangyan(方言) written by Yang xiong(揚雄), the northeastern region of Yuan(燕), Joseon(朝鮮), and the banks of Lie River(列水, or 洌水) were in the same linguistic area combined by isogloss. Before establishment of Lelang Commandery in 108 B.C., there were already Archaic Chinese(Warring state style dialect) introduced to Old Joseon passing by the northeastern region of Yuan.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shared among the northern Yemaek(濊貊) societies such as Buyeo(夫餘), Goguryeo(高句麗), Ye(濊), Okjeo(沃沮) and others could possibly originate from their parent language, namely Old Joseon’s. The similarities were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s that once included in the linguistic area of Old Joseon. After the fall of Wiman Joseon(衛滿朝鮮), the drifting people spread Old Joseon’s languag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This phenomenon could be confirmed by the trace of Old Joseon’s and Warring state style dialect in the language of Jinhan(辰韓).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